켈리 최 저
황선우 저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저/황가한 역
하미나 저
월터 아이작슨 저/조은영 역
류진희,백문임,허윤 기획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적인 단어를 그닥 좋아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단어를 남발하는 사람도 물론 가까이하지 않는다. 예컨대 공정, 정의, 자유, 객관적, 상식, 용서 등 우리가 사는 인간 사회에서는 결코 구현할 수 없는 이상적인 낱말들은 그것을 대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철저한 자기반성 대신에 구체성도 없는 과대망상의 세상 속으로 빠져들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어떤 이에 대하여 아무런 근거도 없이 무분별한 믿음을 표출하도록 유도한다. 그(또는 그녀)가 자신이 살아온 궤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거나 증명할 수 있는 어떤 특정한 증거를 제시한 것도 아닌데, 그(또는 그녀)가 마치 정의의 화신인 양 인간 양심의 정수인 양 대우하는 것이다. 이런 몰상식한 처사가 선거판이나 특정인의 강연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만 한정하여 일어나는 건 결코 아니다. 우리의 일상 다반사에서 늘 있는 일이다.
"첫 구절을 이렇게 시작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이 글은 '감정적'이고 사적인 글이다. 그리고 아마도 가장 줄거리가 없는 서평일 것이다. 이 글이 일반적인 형식의 해제인지 추천사인지 독후감인지 모르겠다. 다만 나는 '고통에 대한 고통'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말을 걸고 싶다. 고통에 대한 고통이란, 침묵과 망각 외에는 고통에 대처할 다른 방법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용서'는 이 문제가 해결된 다음이어야 한다." (p.50)
정희진 작가의 저서 <편협하게 읽고 치열하게 쓴다>는 지극히 사적이며 주관적인 글의 모음이다. 그래서 더 깊이 읽게 되는 책이다. 인간은 누구나 개별적이며 완벽한 객관에 이른다는 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제되는 건 인간은 누구나 완벽하게 개별적인 타인을 알기 위해서 노력하며 그것에 대해 지루해하거나 죽을 때까지 그와 같은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는 점이다. 주지하다시피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이다. '정희진의 글쓰기' 시리즈의 세 번째 책 <편협하게 읽고 치열하게 쓴다>는 정희진 개인의 생각들을 쏟아낸 책이며 그래서 더 값지고 귀한 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책에 실린 27편의 글은 모두 정희진의 생각일 뿐 다른 누군가의 생각이나 창작을 적당히 모방하거나 답습한 글은 단 한 편도 없다. 정희진의 덕후가 탄생하는 것도 바로 그 지점임을 알 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다.
"이 글은 <대지의 딸>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이 책에 대한 나의 생각을 담고 있다. 좋은 서평은 결국 좋은 독후감이다. 독서 감상문은 쓰는 이 자신에게로 회귀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성찰적이어야 한다. 독후감은 개인의 맥락에서 읽혀야 한다. 다시 말해 서평을 쓴 사람은 한 사람의 독자일 뿐 독자를 대변하는 길잡이가 아니다." (p.220)
작가는 자신이 '페미니즘'이라는 특정한 사고방식에 집중하는 필자이자, 고통과 몸, 권력과 지식, 젠더와 관계 등 논쟁적인 주제에 관심 있는 독자라고 털어놓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고백은 어느 정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리영희의 저서 <대화>에 대한 서평에서는 리영희에 대한 인간적 감정과 남자라는 사회적 우월성을 배제한 채 행복한 근대인으로서의 리영희, 권력의 주조 방식을 넘어서는 지성과 인식의 소유자, 한 개인이 특정한 시대에 어느 정도까지 많은 일을 할 수 있는지 그 최대치를 보여준 인물로서 존경의 마음을 내비친다.
"결국 나는 이 분열에 대해 쓴다. 모든 의미는 차이의 산물이며, 앎은 경계를 인식하는 데서 가능하다는 '진리'가 내게 이런 글을 쓸 수 있는 만용을 주었다. 텍스트와의 대화는 독자와 저자 간 갈등의 의미를 정치화함으로써 텍스트를 소통 가능한 역사 속에 위치시키는 것(mapping)이다." (p.176)
나는 자신이 하는 모든 연설에서 자유를 강조하고 입만 벌리면 공정과 상식을 강조하는 어느 정치인을 알고 있다. 그리고 그를 지지하는 어느 당은 당원 전체가 그의 성공을 기원하고 있다는 소식을 뉴스를 통해 종종 전해 듣곤 한다. 그러나 이상적인 낱말들을 나열하는 그의 연설 자체가 사기인 것처럼 당원들 모두가 그의 성공을 기원한다는 것도 사기에 가깝다. 로봇이 아닌 이상, 각기 다른 방식으로 생각을 하는 인간이 어떻게 로봇처럼 일괄적인 대오를 유지할 수 있겠는가. 그와 같이 선전하는 정당은 필연적으로 망할 수밖에 없음을 역사는 증명하고 있다. 히틀러의 나치당이 괴멸한 것처럼 말이다. 정희진의 글이 이 시대에 귀하게 읽히는 까닭은 작금의 대한민국의 정치와 언론이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과거로의 퇴행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의 생각은 너와 다르고 너의 생각이 나와 어떻게 다른지 탐구하는 것, 사회적 결합과 연대는 바로 그 지점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작가는 온몸으로 말하고 있다.
제목이 재미있다. '치열하게' 쓴다는 건 작가로서 당연한데 '편협하게' 읽는다니 독자로서 괜찮을까. 알고보니 저자가 말하는 '편협하게'의 의미는 한 쪽으로 치우친 의견만 반영한다는 뜻이 아니라 "예상 가능한 내용이나 편안한 말, 기존의 언어나 이데올로기를 반복하는 책보다는 '전압이 높은 책', '나를 소생시키는 책'을 선호한다."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그저 그런 책 열 권을 읽느니 인생을 바꿀 만한 위력을 지닌 책 한 권을 읽겠다는 의지(혹은 읽고 싶다는 희망)의 표현이랄까. 그렇다면 나도 편협하게 읽는 독자가 되리...
저자는 여성학자이지만 여성뿐 아니라 다양한 주제에 관심이 많다. 특히 관심 있는 주제는 고통과 통증, 질병과 죽음, 이를 모두 아우르는 '몸'이다. 몸에는 얼굴도 포함되는데, 얼굴이 두꺼운 사람, 즉 뻔뻔한 사람일수록 그나마 적은 기회를 잡기 쉽고 물리력, 폭력, 권력을 행사하기 쉬운 것이 오늘날의 한국 사회 구조다. 반대로 얼굴이 두껍지 못한, 남을 괴롭히고는 발 뻗고 못 자는 양심의 소유자들은 불안과 우울에 시달리며 계층 구조의 하단부에 머무른다. 이런 사람들이 주로 글을 쓰고, 그렇기 때문에 글쓰기는 결국 고통에 대한 연구로 귀결된다. (60쪽 참고)
남성 작가에 대한 생각도 흥미롭다. 저자는 리영희 대기자의 책 <대화>를 읽고 이렇게 썼다. "물론 그는 충분히 성찰적인 남성이지만, 그의 위대함은 성별화된 공/사 영역 분리로 인해 보살핌 노동에서 면제된 남성 특권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여성이라면 결혼하지 않았어야 가능한 업적이 남성은 결혼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180쪽) 위대한(혹은 위대하다고 일컬어지는) 남성(작가)들을 볼 때마다 나도 같은 생각을 한다. 그들이 여성이었다면 남성일 때와 같은 수준의 성취를 이루고, 같은 수준의 인정과 보상을 받을 수 있었을까. 나는 아니라고 본다.
‘치료’(해방)란 예전으로 돌아가는 정상으로의 회복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이다. (27)
몸은 언제나 해석이다. (39)
인생은 ‘몸’, ‘글’, ‘몸의 글’ 사이에서 하는 방황이다. (43)
성별, 인종, 계급, 나이는 인간의 본질이 아니라 사회적 해석이다. (48)
일상은 지속되기 때문에 정치의 최종 심급이자 가장 치열한 정치다. (53)
재현은 모두 환골탈태, 기억, 몸의 형태가 바뀌는 고통스러운 과정이다. (61)
어쩌면 ‘인문학의 위기’는 무식한 데다 권력욕에 눈이 충혈된 채 이리저리 날뛰는 이들을 정면할 언어의 부재가 아닐까. (78-79)
나는 인간과 사회의 ‘질’은 고통스러운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마음과 지성의 용량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85)
고통은 나눌 수 없다. 육체의 통약 불가능성 때문이다. 개인들, 몸들 간의 공통분모는 없다. (87)
경험은 겪은 것이 아니다. 선택적인 기억이다. 경험은 철저히 정치적인 것이다. 무엇을 잊고, 무엇을 의미화하는가. 내가 겪은 일은 어떤 것인가.... 자신의 경험을 인식할 수 있는 시각이 생길 때 비로소 ‘떠오르고’ 인지되고 해석된다. (102)
문제는 구조다. (106)
인간의 해방과 자유는 추구하는 내내 달성할 수 없는 과정의 정치이다... 결코 달성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영원히 필요하며 급진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116-117)
과학자들 정치가든 자기가 사는 사회의 언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힘의 원리만이 동물의 세계를 지배한다는 가정이고... 동물에게는 정치가 없다는 사고방식이다... 모두 자기 생각을 자연(타자)에 투사하는 것이다. (123-124)
어떤 학문 분야에서나 모든 이론은 매순간 운동하는 세계를 영원으로 고정시키려는 욕망 행위다.... 그러므로 확실함에 대한 추구는 소통의 가장 큰 장애물일 뿐만 아니라 지성의 독이다. (127)
몸은 사회적 기억이다. (135)
세상에는 현장에 따라 수많은 페미니즘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내가 생각하는 지식으로서 페미니즘의 가장 큰 매력은 나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언어를 준다는 점이지만, 페미니즘의 정수는 스스로 내파와 파생을 거듭하는 지식(형성)이라는 데 있다. (151)
외롭고 지겨운 노동의 연속, 이것이 대부분 사람들의 인생이다. 슬픔은 삶에 어쩌다 닥치는 불행이 아니라 삶의 조건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슬픔을 외면한다. (222)
모든 사회적 모순은 상호 의존적이다. (223)
지금 우리의 외부는 북한, 일본, 검찰, 그리고 미디어(‘조중동’)가 아닐까. ‘진실과 사실 여부’는 아무 상관이 없다. 위 네 ‘집단’의 입장이 유일한 기준으로서, 그들과 같은/다른 의견은 적과 동지를 구분하는 잣대가 된다... 이 같은 진영 논리는 역설적으로 검찰과 보수 언론의 입지를 강화하는 것이다. 검찰은 언론플레이를 하고, 보수 언론은 (취재라기보다는) 수사를 한다. (236-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