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 남편을 따라 1984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낯선 땅에서 중환자실 간호사로 40년을 살았다. 수없이 많은 죽음을 만났지만 엄마의 죽음은 더욱 아프고 쓰리고 힘든 것이었다. 퇴직 후 4년 째, 상실의 무게가 가벼워지길 바라며, 엄마와의 시간들을 모았다. 쓴 책으로 《당신이 있어 외롭지 않습니다》와 《그래도, 당신이 살았으면 좋겠다》 등이 있다. 지금은 록키산맥의 끝자락 미국 콜로라도와 동해 바다가 한눈에 보이는 강릉을 오가며, 소소한 할머니의 이야기들을 브런치에 올리고 있다.
한국에서 간호사 일을 시작했다가 미국에서 일을 이어 나갔다. 햇수로는 41년, 돌본 환자 수는 ...
유학생 남편을 따라 1984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낯선 땅에서 중환자실 간호사로 40년을 살았다. 수없이 많은 죽음을 만났지만 엄마의 죽음은 더욱 아프고 쓰리고 힘든 것이었다. 퇴직 후 4년 째, 상실의 무게가 가벼워지길 바라며, 엄마와의 시간들을 모았다. 쓴 책으로 《당신이 있어 외롭지 않습니다》와 《그래도, 당신이 살았으면 좋겠다》 등이 있다. 지금은 록키산맥의 끝자락 미국 콜로라도와 동해 바다가 한눈에 보이는 강릉을 오가며, 소소한 할머니의 이야기들을 브런치에 올리고 있다.
한국에서 간호사 일을 시작했다가 미국에서 일을 이어 나갔다. 햇수로는 41년, 돌본 환자 수는 5만여 명이다. 어느새 간호사로 산 기간이 그렇지 않은 기간보다, 한국에서 살았던 기간보다 이국땅 미국에서 산 기간이 길어졌다. 낯선 땅에서 간호사, 그것도 매일같이 죽음을 접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로 살아가기란 쉽지 않았다. 때로는 그 무게가 버거워 놓아 버리고 싶을 때도 있었다. 그러나 죽음은 삶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깨달았고, 거기에서 오늘을 살아야 할 이유를 발견했다.
미국 콜로라도스프링스 펜로즈 병원 중환자실에서 간호사 겸 상담가 역할을 하는 케이스 매니저로 일하며 틈틈이 글을 써 왔다. 1996년 ‘한국일보 샌프란시스코 생활수기’ 당선, 1997년 ‘한국일보 문예공모 단편소설’ 입선, 2002년 ‘제4회 재외동포 문학상 소설부문’ 입상 등 미국에서 활동하다, 2010년 〈죽음 앞의 삶〉으로 ‘제46회 신동아 논픽션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국내 독자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전작으로 『당신이 있어 외롭지 않습니다』가 있으며 간행물윤리위원회 추천도서로 선정된 바 있다. 이 책의 내용은 현재 브런치에 연재 중이며 독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