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 동물권 및 생태 문제, 세계사……세상을 보는 시야를 확장해 줄 지식 편의점인류세가 곧 닭의 시대일지도 모른다고?신선한 우유를 마실 수 있는 건 마피아 때문이라고?더 넓은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도록 도울 책물 분자의 구조, 매운맛을 느끼는 원리 등 물건 뒤에 숨은 과학 원리를 풀어내기도 하지만, 이 책에서 다루는 이야기들은 단순히 과학이라는 단어 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치킨을 통해 우리는 현재 지구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육류가 치킨이라는 점, 그 어마어마한 소비량 때문에 닭 뼈 화석이 훗날 ‘인류세’의 표지가 될지도 모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신선식품 코너로 가면 단일 품종 재배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바나나의 상황을, 생활용품 코너에서는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마스크의 문제점을 들여다볼 수 있다.기술사, 동물권 및 생태 문제, 제국주의의 역사, 마케팅 경쟁 등 현대의 우리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중요한 문제들이 편의점 물건 속에 하나하나 촘촘하게 녹아 있음을 이 책은 알려준다. 일상 물건 속 과학 상식뿐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청소년 독자의 시야를 넓혀 줄 다양한 이야기가 책 속에 담겨 있다. 단 하나의 물건을 통해 세상 전체를 들여다보다교과서 밖 기발한 과학과 역사 이야기물 분자의 구조부터 대기근의 역사까지,세상의 모든 지식과 이야기를 망라하다저자는 각종 과학 잡학에 능한 과학 덕후로, 아무 생각 없이 스쳐 지나갈 만한 평범한 편의점 속 물건에서도 무궁무진한 과학과 역사 이야기를 뽑아낸다. 예컨대 감자칩 장에서 저자는 감자칩 봉지의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클수록 감자칩이 더 맛있게 느껴진다는 이그노벨상 수상 연구를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해, 인류가 바삭한 식감을 즐기게 된 이유를 신경문화인류학적으로 설명하고, 감자가 덩이뿌리가 아닌 덩이줄기임을 밝히며 감자 식물의 구조를 알려 준다. 나아가 감자가 처음 유럽에 도착해 대중적인 작물이 되기까지의 과정, 감자 단일 품종 재배로 인한 아일랜드의 대기근까지, 그야말로 감자 하나로 세상 전체를 들여다본다. 우리에게 친숙한 물건에 이렇게나 많은 과학과 역사가 녹아 있었다는 점을 알게 되면 일상 속 물건들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고, 그저 지루하게만 느꼈던 교과서 속 지식이 흥미진진하게 느껴질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청소년 독자들은 과학 이야기를 한층 친근하게 느끼고 진정한 지식의 기쁨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장마다 삽입된 정재윤 작가의 창의적이고 유머러스한 삽화는 독자의 이해를 돕는 동시에 보는 재미를 배가한다. 세상의 모든 지식과 이야기를 망라하는 편의점으로 들어가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