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선 저
리처드 이스털린 저/안세민 역
강은호 저
김대수 저
앨버트 잭 저/정은지 역
읽자마자 수학 과학에 써먹는 단위 기호 사전
그리고 그거 아는가?
우리나라의 전력 소비량이 어느정도 되는지?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작은 땅덩이에서 전력 소비량이 엄청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땅덩이가 더 큰 일본이나 중국보다도 더 소비량이 더 크다구? 이럴수가 ㅋㅋㅋㅋ
이 책이 아니면 어디서 이런 상식을 알려줄것이냐 말이다. 그 밖에도 정말 재미난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지진을 측정하는 단위도 알려주어서 어느정도이며 벽이 무너지나를 알수가 있었다. 정말 재미난 이야기 였다.
수학 과학에 흥미가 없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꼭 추천하고 싶다. 수학 과학을 잘하게 할수는 없는 책이지만 수학 과학에 흥미를 붙여서 스스로 재미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그만큼 신기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가득한 책이었다. 오래간만에 흥미로운 책을 읽어서 너무나 기분이 좋다.
그냥 앉은 자리에서 이미 수십페이지를 읽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할 만큼 일상생활에 단위에 관한 이야기들이 많이 있었다.
빛의 밝기 부터 시작해서 라디오 전파는 전파중에 몇번째인지 등 정말 생각지도 못한 이야기들이 있는 이 책은 학생들이 읽어도 될 만큼 지식을 갖출수 있고, 쉽게 쓰여진 책이다.
수학과 과학에 써먹을 수 있는 단위 기호 사전이라고 해서 궁금했다. 일반인이 쓰는 단위의 범위는 한정되어 있으나 그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이상에야 간혹 듣는 단위는 가늠하기 힘들다. 또는 옛 어른들이 쓰시는 양이나 길이를 재는 단위는 정확히 얼마인지 헷갈리기도 하다. 여기 단위에 대해 사전이라 할 만큼 모두 총망라한 사전 같은 그러나 이야기가 들어있어 지루하지 않는 책이 있다.
이 책은 길이와 거리, 무게, 넓이와 양, 각도의 단위, 시간과 속도, 에너지, 빛 등의 지구상에서 쓰는 모든 단위들을 총망라한 것 같다.
우선 신체를 이용한 단위가 눈길을 끌었다. 큐빗은 팔꿈치 끝에서 가운뎃손가락 끝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는데 당시 왕의 팔이 기준이 되었다고 한다. 아이러니한 것은 왕이 바뀔 때마다 기준이 되는 길이도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단위가 피라미드를 만드는 데 기준이 되었고 그리스 로마 시대를 거쳐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지금의 야드(yd)의 기초가 되었고 1m 가 큐빗과도 연관이 있다는데 나는 이 큐빗을 어디서 들어봤을까? 귀에 익는다.
소가 경작하는 땅의 넓이에서 유래한 단위 중 에이커는 지금도 사용되는데 만들어진 유래가 재미있다. '소 두 마리를 끈으로 이어서 쟁기를 끌게 하여 한 사람이 하루에 경작할 수 있는 넓이'라는 뜻으로 13세기부터 사용된 단위라고 한다. 1에이커가 가늠이 안되어 네이버를 찾아보니 대략 32평 아파트 38채 정도라고 한다. 크기가 어마어마하다. 우리가 보통 '축구장의 몇 배 정도 되는 크기'라는 말을 종종 쓴다. 그런데 실제 장충체육관의 몇 배?라는 말을 예전에 많이 썼다고 한다. '매우 넓다.' 혹은 '무척 넓다'라는 말을 하고 싶을 때 '장충체육관의 몇 개 분'이라는 관용적 표현을 쓰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다. 장충체육관은 실제 연면적 11,399.2 제곱미터, 부피 약 76,870 세제곱미터인데 돔구장이라 넓이뿐 아니라 부피 단위로도 사용했다고 하니 추억 속의 단위라는 말이 그럴듯하다.
청바지 사이즈를 보통 인치로 사용한다. 인치는 대략 2.54cm쯤 된다. 청바지가 서양에서 들어와서 인지 대부분의 청바지는 인치를 사용하고 있어 cm보다는 인치가 더 익숙하다. 예전에 어렸을 적 집에 14인치 칼라TV 가 있었던 시절 14인치의 크기가 어떻게 재서 나온 수치와 단위인지 궁금했던 적이 있었다. TV나 컴퓨터 모니터의 크기는 대각선 길이를 인치로 나타내고,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바퀴 크기는 휠의 지름을 재며, 자전거의 바퀴는 타이어에 공기를 넣을 때의 겉지름 치수를 잰다고 하는 측정하는 위치가 다들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노랫말 가사에 십 리도 못 가서 발명 난다는 말이 떠올랐다. 거리를 나타낼 때 쓰는 1리는 약 400m인데 그럼 십 리면 4km를 나타낸다. 요즘도 결혼할 때 장롱을 사는지는 모르겠으나 내가 결혼할 때만 하더라도 장롱을 사러 다녔던 적이 있다. 열자 반, 여덟 자 등등 얘기하던 때 그 단위가 궁금했었는데 1자는 약 30cm라고 한다. 그 외에도 한국의 길이 단위에 정보, 치, 간이라는 단위가 더 있는데, 사용하지 않고 들어본 적 없어 생소했다. 하지만 그림과 함께 설명해 주어 이해를 돕고 있다.
주제를 바꿀 때마다 칼럼이 있어 흥미로웠는데 그중 하나가 '영혼의 무게는 3/4 온스?'라는 것이다. 사람이 죽을 때의 체중 변화에 대해 실험을 했더니 3/4온스 즉, 21g의 무게 차이가 났다고 한다. 물론 다른 학설도 있긴 하지만 영화로도 제작된 < 21g > 이 궁금해졌다.
부피를 나타내는 옛 단위 되, 홉, 작, 말, 섬 등은 아직도 시골 장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안다. 그림과 함께 단위를 설명해 줘서 이해하기 쉬웠다. 그 밖에도 감이 잘 잡히지 않는 원유의 단위인 배럴, 와인의 단위, 1분당 회전하는 회전수와 관련된 rpm, 소리의 단위 데시벨(db) 등등 주변에서 사용은 하지만 양이나 크기에 있어 가늠이 잘되지 않던 단위에 대해 기존에 알고 있는 단위와 연결 또는 그림을 통해 실제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설명해 주어 유익했다. 또한 단위가 생겨나게 된 유래도 딱딱하지 않고 이야기 형식으로 소개해 주어 재미있었고, 책의 제목이 수학과 과학이라고 해서 딱딱할 줄 알았던 단위가 일상생활에서 기본이 되고 관심을 갖고 알아두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부록을 통해 단위를 정리해 주었고, 인덱스를 통해 해당 단위의 설명을 찾아볼 수 있도록 안내해 주어 사전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상식으로라도 단위에 대해 한 번쯤 읽어두면 좋을 책이라 주변에 소개하고 싶다.
*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자격증 공부하는데 도움얻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자격증 준비차 해당 책을 살펴보면, 단위조차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딱히 나오지도 않은 경우도 있어서 난감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뭐 이 정도는 알고 있겠지?”이런 식으로 저자가 해석한 듯 싶다.
이 책은 과학기술분야에 쓰이는 단위기호들을 다룬 책이다. OOO 교과서 시리즈로 알려진 보누스에서 이번에는 OOO 단위 교과서가 아니라, 단위 사전이라는 책이름으로 나왔다.
책이름을 보면서 나는, “아! 이제는 OOO 교과서에서 OOO 사전으로 시리즈가 바뀌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이 책은 올칼라판이다. 독자마다 느낌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주의가 분산되지 않게 적절한 칼라를 사용했다고 평하고 싶다.
발음표시 할 때 한글로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발음표시 괄호 모양을 ( ) 대신에 [ ]로 쓰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영단어 공부했을 때 영어사전에서는 발음기호 넣기 전에 [ ] 표시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어떤 해당 단위가 나올 때마다 한글로 발음표기가 되어 있는데, 이왕이면 발음이 어떻게 되는지, 한 눈에 쉽게 들어오도록 지정된 위치에 표기되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 입장에서는 아쉽지만 다행인 점은 책 뒷부분에 부록이 있다. 부록에는 내가 원하는 그런 방법이 나와 있기도 하다. 발음표기는 예를 들어 m/s 인 경우, [미터 매 초]이렇게 되어 있다. 20 여 년 전 내가 학교에서 배웠을 때는 [미터 퍼 섹크]라고 발음했다. 표기법이 20 여년 전과 달라졌나 보다.
이 외 나머지 내용 부분에서는 나름대로 만족스러운 편이었다. 그림까지 그러져 있어서 왜 그런 단위를 쓰게 됐는지, 단순 암기식으로 외운 것보다는 훨씬 더 이해할 수 있었고, 해당 단위를 기억하는데도 나름대로 도움돼서 좋았다. 내 입장에서는 그림이 한 몫 한 것 같기도 하고, 지루하지 않게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