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예 저
정보라 저
김서해 저
미야베 미유키 저/김소연 역
낸시 스프링어 저/김진희 역
넬레 노이하우스 저/전은경 역
이 책은 미스터리 소설로 감동을 주거나, 교훈을 주는 책은 아니지만 이 작가의 책은 흥미롭게게 읽히고, 또 책 읽는 내내 궁금증을 자아내는 흡입력으로 머리 안 쓰고 읽기에 최적입니다.
영원한 우정으로 라는 이 책은 유명 출판 편집자의 실종을 둘러싼 이야기로 작가의 책에 늘 등장하는 형사 2명이 사건을 파헤치며 알게 사실에 접근하는 이야기입니다.
멀리 여행을 간 줄 알았던 편집자의 집에서 범행의 흔적이 난무하고, 편집자는 숲에서 시신으로 발견 됩니다. 수사를 할 수록 용의자들은 늘어가고, 점점 미궁으로 빠지는 수사...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닌 듯한 소설의 내용으로 한장한장 호기심을 자극하며 책 읽는것이 더딘 나도 일주일만에 완독하게 만든 소설책이다.
무자비한 독설가로 유명한 출판 편집자 하이케 베르시가 실종됩니다. 살의까지는 아니어도 그녀를 증오한 출판 관계자들이 적지 않다는 걸 알게 된 호프하임 경찰서 강력11반의 보덴슈타인과 피아는 일일이 그들을 조사하지만 좀처럼 혐의점을 찾지 못합니다. 그러던 중 하이케의 시신이 발견되고 그녀의 동료였던 알렉산더마저 의문의 사고로 중태에 빠지자 동일범에 의한 연쇄살인을 의심하기에 이릅니다. 무엇보다 하이케와 알렉산더를 포함하여 30년 넘게 우정을 쌓아온 6명의 ‘영원한 친구들’이 직종은 달라도 모두 출판계에 종사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35년 전 프랑스의 한 섬에서 일어났던 비극적인 사고가 현재의 사건과 연관된 게 확실하다는 점에 착안한 보덴슈타인과 피아는 과거와 현재의 접점을 찾아내기 위해 분투합니다.
‘영원한 우정으로’는 넬레 노이하우스의 ‘타우누스 시리즈’ 열 번째 작품입니다. 그 때문인지 몰라도 본문 곳곳에서 과거 사건들에 대해 언급하는 대목을 자주 목격하게 되는데, 시리즈를 계속 읽어온 독자라면 보덴슈타인과 피아의 데뷔작인 ‘사랑받지 못한 여자’부터 직전 작품인 ‘잔혹한 어머니의 날’까지를 파노라마처럼 떠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오랜 과거에 잉태됐던 비극이 현재에 이르러 끔찍한 사건을 일으킨다.”는 ‘타우누스 시리즈’의 단골 설정입니다. 이번 작품의 프롤로그를 장식한 사건은 1983년, 그러니까 작품 속 현재 시점인 2018년을 기준으로 35년 전에 프랑스의 한 아름다운 섬에서 일어났습니다. 모두 7명이었던 ‘영원한 친구들’ 중 한 명이 익사하는 사고가 벌어졌고, 그 뒤로 그들의 삶은 제각각의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 누군가는 그 사고로 인생의 순풍에 올라탔지만, 누군가는 폐인이 되다시피 독일을 떠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그들 모두 2018년 현재 편집자, 기획부장, 에이전트, 인쇄업 등 출판계에 몸담은 채 타우누스 일대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두 명이 살해되고 나머지 멤버들 역시 35년 전 사건의 진상을 묘사한 듯한 익명의 복사본 편지를 받으면서 혼란과 공포에 빠집니다.
사건은 단순하지만 넬레 노이하우스는 언제나 그랬듯 과거와 현재의 미스터리를 절묘하게 엮는 것은 물론 누가 범인이라고 해도 전혀 이상할 것 같지 않은 등장인물들에 대한 긴장감 넘치는 묘사로 독자의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또 현재의 사건을 파헤치기 위해 과거를 들여다보던 보덴슈타인과 피아가 누구도 예상 못한 30여 년 전의 참혹한 진상을 파악하는 이야기는 700여 페이지의 볼륨감을 더욱 탄탄하고 충실하게 만듭니다. 별개의 사건들이지만 실은 거대한 악연에 의해 지배된 한 개의 사건처럼 촘촘하고 정교하게 구성된 덕분입니다.
보덴슈타인과 피아가 수사를 이끌긴 하지만, 의외의 인물들이 ‘세컨드 탐정’ 역할을 펼치는 설정도 흥미롭습니다. 전도유망한 젊은 편집자 율리아는 본의 아니게 35년 전 프랑스에서 벌어진 사고의 진상을 그린 미완성 원고를 읽게 된 탓에 현재 벌어진 사건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그녀에게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건 피아의 전 남편이자 뛰어난 법의인류학자인 헤닝입니다. 헤닝은 보덴슈타인과 피아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범죄소설로 일약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상태인데, 마침 율리아가 그의 담당 편집자라 그녀의 의문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맡습니다. (말하자면 헤닝은 소설 속에서 ‘타우누스 시리즈의 작가’가 된 것입니다. 그가 발표한 작품도 실제 ‘타우누스 시리즈’의 작품과 이름이 같습니다.) 두 사람의 수사는 때로 선을 넘은 탓에 피아의 격분을 사기도 하지만 결정적인 단서를 포착하여 사건 해결에 큰 공을 세웁니다.
사건 외에 눈길을 끈 건 보덴슈타인의 불운한 결혼생활입니다. 58세의 보덴슈타인은 세 번째 결혼마저 파국 직전인 가운데 간암에 걸린 전처 코지마를 위해 자신의 간을 이식해주기로 결심합니다. 매번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사생활 이야기는 잔혹한 사건에서 잠시 눈을 돌릴 틈을 주곤 하지만, 행복과는 거리가 먼 고통스런 내용이 대부분이라 아무래도 마음 편히 읽을 수는 없습니다. 해리 보슈와 해리 홀레를 포함하여 제가 좋아하는 스릴러 주인공들도 비슷한 삶의 궤적을 그린 걸 생각해보면 스릴러의 맛이 좀더 진하고 깊어지기 위해선 아무래도 주인공의 불행이 필수요소라는 걸 부인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독일에서 2021년에 출간됐지만 이 작품의 배경은 2018년입니다. 아무래도 각각 58세, 51세에 이른 보덴슈타인과 피아를 한 살이라도 젊게 그리려는 의도로 추정되는데, 독일 경찰의 정년이 몇 살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리 늦어도 시리즈 12~13편쯤에 보덴슈타인이 퇴직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저 우울해질 따름입니다. ‘잔혹한 어머니의 날’ 서평 말미에도 쓴 내용이지만, 넬레 노이하우스가 시간을 거스르는 소재를 통해서라도, 아니면 보덴슈타인으로 하여금 탐정사무소를 차리게 해서라도 언제까지든 ‘타우누스 시리즈’를 이어가기를 간절히 바랄 뿐입니다.
타우누스 시리즈의 10번째 작품으로 우정에 관한게 주 스토리이다 피아는 헤닝이 소설가가 되어 유명해졌지만 소설 내용때문에 헤닝에게 화가 난 상태였다 남편이 화를 냈다며 헤닝에게 전화가 오자 내용을 수정해달라고 요구한다 헤닝은 피아에게 친구랑 연락이 안된다는 지인의 부탁을 받았다며 문에 혈흔까지 묻어 있어 무슨 일이 생긴게 아닌지 가봐달라고 했다는 것이다 피아는 소설을 수정하는 대신에 본인이 가기로 한다 실종된 여자는 하이케 베르시로 50대 여자였으며 직장에서 해고당한 후 사라진 것이다 피아는 하우실트라는 사람을 만나 사라진 친구가 40년된 친구이며 한번도 이런적이 없다는 것이었다 피아는 조사를 하우실트는 하이케가 아픈 아버지를 두고 어디 긴 여행을 할 사람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이케는 충동적이고 직설적인 성격이며 새로 온 발행인과 사이가 좋지 않아서 계속 다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녀를 4주전에 예고 없이 해고 했다는 것이다 하이케는 노동법원에 가서 승소할 가망이 컸다는 것이다
그때 살림 노동자들이 숲속에서 시신 한구를 발견했다는 연락이 오고 피아는 그곳으로 향한다 살림관리인이 안내하는 곳으로 간 피아 계곡아래에서 아침에 우연히 발견했다는 것이다 그 시신은 바로 하이케였다 피아는 그녀의 사건을 계속해서 수사해나간다 피아는 용의자들을 찾아가 이야기를 듣게 되는데 첫번째 용의자 알렉산더는 실종 전 날 그녀와 함께 다퉜으며 해고 후 그녀 자리를 꿰찬 인물이다 2번째 용의자는 카를이며 항케를 해고한 출판사 발행인이었다 마지막 용의자는 제베린 벨테으로 하이케가 담당한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했다 하이케가 그 작가의 소설이 표절이라며 화를 냈다는 것이다 하이케가 자기 출판사를 설립하려고 했으며 작가에게 같이 가자고 했는데 그는 그러고 싶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이케가 욕을 멈추지 않자 작가는 노트북으로 그녀를 살해했다고 고백한다 하지만 곧 벨텐이 하이케에게 상처를 입힌것 맞지만 실제로 그녀를 살해하고 시신을 숲에 유기한 사람을 따로 있다는 걸 발견한다
한편 2번째 용의자인 카를이 피아에게 어머니께 소포가 왔다며 자신이 하는 말이 이상하겠지만 원고 하나를 받았는데 그 원고를 살펴봐달라고 부탁한다 카를은 자신의 어머니는 본인이 태어난 후 얼마 안되 자살하셨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소포에는 원고와 함께 미니카가 같이 들어있었다 그리고 죽은 하이케와 알렉산더가 예전에 찍힌 사진을 보게 된 피아 그들이 서로가 예전에는 친구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 과연 하이케는 과연 누가 죽였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