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분야
소설 > 고전문학
파일정보
EPUB(DRM) 18.70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 상품의 태그

카드뉴스로 보는 책

책 소개

“창작과 소설 읽기의 전범이 될 현대소설의 백미!”
작가 이문열을 사로잡았던 세계의 명작들, 작가를 꿈꾸는 이들의 필독서!

1996년 처음 출간된 이래 20여 년간 수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아온 <이문열의 세계명작산책>이 새로운 판형과 현대적인 번역으로 다시 독자를 만나게 되었다. 그간 변화해온 시대와 달라진 독서 지형을 반영해, 기존에 수록된 백여 편의 중단편 중 열두 편을 다른 작가 혹은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으로 교체하고, 일본어 중역이 포함된 낡은 번역도 새로운 세대의 번역자들의 원전 번역으로 바꾸어 보다 현대적인 책으로 엮었다. 바뀌거나 더해진 것이 30퍼센트에 달할 정도로, 새로워진 개정판이 되었다. 여기 세련된 장정과 판형으로 소장 가치까지 한층 높였다. 지난 20여 년간 그래왔듯이, 이번 개정판도 수많은 독자들을 세계명작의 산책로로 안내하는 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엮은이인 이문열 작가는 초판 서문에서 “좋은 소설을 쓰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속에 다양하면서도 잘 정리된 전범(典範)이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래서 젊은 시절 작가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던 작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주요 문학잡지의 해외 특집란을 검토해 추린 후, 주제별로 세계의 다양한 나라의 작품들을 엮어내고 각 작품에 대한 해설까지 더했다. 모두를 납득시킬 만한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는 별수 없는 미진함이 남을지라도(혹은 그런 것이 불가능할지라도), 작가는 이 선집이 작가 자신의 문학 체험의 한 결산임을 분명히 밝히고, 그의 마음을 사로잡은 문학 체험이 독자들에게도 전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문열의 세계명작산책>은 작가를 꿈꾸는 이들에게는 창작의 한 전범이자 기준이 될 것이며, 소설 연구자들에게는 주제별 비교가 가능한 텍스트로서, 그리고 대중 독자들에게는 수준 높은 세계명작들의 풍성한 세계를 접하는 첫 책으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수록된 소설을 읽는 것만으로도 높은 수준의 문학 교양을 쌓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총 10권으로 기획된 시리즈 중 우선 1권과 2권이 동시 출간되었다. 제1권 “사랑의 여러 빛깔”은 사랑의 본질 혹은 속성을 다룬 작품들을 모았다. 문학 고전의 태반이 사랑을 주제로 삼고 있고 현대소설에서도 사랑 이야기는 여전히 중요한 소재이거나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만큼 사랑이라는 주제는 문학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이자 소재이다. 사랑의 본질에 대한 정설 같은 것은 없다. 오히려 다양한 입장과 관점, 해석의 정도에 따라 다채롭게 드러나는 것이 사랑의 현상이다. 1권에 수록된 11편의 중단편은 문학의 프리즘을 통해 드러나는 “사랑의 여러 빛깔”을 펼쳐 보인다. 처음 책을 낼 때부터 꼭 넣고 싶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넣지 못했던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슌킨 이야기>와 오 헨리의 <잊힌 결혼식>을 새로이 번역해 실었고, 테오도어 슈트롬의 <임멘 호수>와 안톤 체호프의 <사랑스러운 여인>은 새로운 번역으로 다시 읽는다. 그 외에도 바실리 악쇼노프의 <달로 가는 도중에>, 프랑수아 샤토브리앙의 <르네>, 윌리엄 포크너의 <에밀리를 위한 장미>, 토머스 하디의 <환상을 쫓는 여인>, 알퐁스 도데의 <별>, 아니투어 슈니츨러의 <라이젠보그 남작의 운명>, 스탕달의 <바니나 바니니> 같은 세계적 문호들의 정수를 새롭게 다듬은 문장으로 만날 수 있다. 지고지순한 사랑에서부터 치정 같은 사랑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사랑 이야기를 만나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세계명작 #해외소설 #중단편소설 #이문열 #작가지망생 #필독서 #글쓰기 #노벨상 #공쿠르상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세계명작산책』 개정판을 내며
『세계명작산책』 초판 서문
머리말
바실리 악쇼노프
달로 가는 도중에
싱싱하게 형상화된 사랑의 양면성
다니자키 준이치로
슌킨 이야기
애달프고 처절한 아가雅歌
프랑수아 샤토브리앙
르네
초월로 가는 길목으로서의 사랑
테오도어 슈토름
임멘 호수
아프면서도 아름다운 영혼의 낙인
안톤 체호프
사랑스러운 여인
세상을 이해하는 눈 혹은 삶의 방식
윌리엄 포크너
에밀리를 위한 장미
세월과 죽음을 뛰어넘는 사랑의 전율스러움
토머스 하디
환상을 좇는 여인
외날개의 새
알퐁소 도데

멀고 잡을 수 없는 것의 아름다움
아르투어 슈니츨러
라이젠보그 남작의 운명
치정 혹은 흉기 같은 사랑
스탕달
바니나 바니니
다른 가치와의 충돌
오 헨리
잊힌 결혼식
불같은 자본시장 한가운데서의 사랑과 결혼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저자 소개 (19명)

저 : 스탕달 (Stendhal,마리 앙리 벨(Marie Henri Beyle))
발자크와 함께 프랑스 근대소설의 창시자로 불리는 스탕달은 1783년 프랑스 그르노블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자신과는 성향이 매우 달랐던 가족과의 불화 속에서 우울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는 소설 외에 문예평론·여행기·평전을 남겼다. 문필활동 말고는 나폴레옹시기에 군인·군무원을, 7월혁명 이후에 외교관을 지낸다. 1800년 용기병 소위로 임관받아 이탈리아로 떠난 이후 스탕달은 나폴레옹 제정의 관료로서 몇 차례의 승진과 함께 출셋길에 오르고 나폴레옹 원정군을 따라 알프스를 넘지만, 1814년 나폴레옹 몰락과 함께 이탈리아 밀라노에 머물면서 본격적인... 발자크와 함께 프랑스 근대소설의 창시자로 불리는 스탕달은 1783년 프랑스 그르노블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자신과는 성향이 매우 달랐던 가족과의 불화 속에서 우울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는 소설 외에 문예평론·여행기·평전을 남겼다. 문필활동 말고는 나폴레옹시기에 군인·군무원을, 7월혁명 이후에 외교관을 지낸다.

1800년 용기병 소위로 임관받아 이탈리아로 떠난 이후 스탕달은 나폴레옹 제정의 관료로서 몇 차례의 승진과 함께 출셋길에 오르고 나폴레옹 원정군을 따라 알프스를 넘지만, 1814년 나폴레옹 몰락과 함께 이탈리아 밀라노에 머물면서 본격적인 문필생활을 시작한다. 이 시기에 『이탈리아 회화사』, 『아르망스』 등을 집필했다. 1819년 메칠드와 생애 최고의 연애를 하지만, 그들의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경험은 뒷날에 평론 『연애론』(1822)을 탄생시킨다. 1921년 파리로 돌아와 문필활동을 계속하며 1825년 『라신과 셰익스피어』를 발표하여 낭만주의운동의 대변자가 된다.

첫 소설 『아르망스』(1827)는 성적 불능자를 주인공으로 한 특수한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그다지 주목받지 못한다. 7월혁명 이후 대표작 『적과 흑』(1830)을 출간하며 처음으로 ‘스탕달’이라는 필명을 사용한다. 그 밖에 미완성 장편소설 『뤼시앙 뢰방』, 『라미엘』, 사후에 ‘이탈리아 연대기’로 간행되는 『카스트로의 수녀원장』 등 중·단편들을 모은 『한 만유자의 메모』(1838)를 발표한다. ‘이탈리아 연대기’의 연장인 『파르마의 수도원』(1839)은 그의 생애를 매듭짓는 걸작이 된다.

이처럼 발상과 기법의 참신함 때문에 작가 생전에는 많은 이해를 얻지 못하지만, 죽은 뒤 스탕달의 작품은 점점 많은 독자를 얻어 세계적인 명작으로 발돋움한다. 스탕달은 1842년 파리에서 뇌졸중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유해는 몽마르트르 묘지에 안장되었다.
저 : 윌리엄 포크너 (William Faulkner)
1897년 9월 2일 미시시피주(州)의 뉴올버니에서 출생하였다. 1949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며, 두 차례 퓰리처상을 받았다. 남부(南部)의 명문가에서 태어나 어릴 적에 근처인 옥스퍼드로 옮겨 그의 생애의 태반을 이 곳에서 보냈다. 군인이자 작가, 정치가였던 증조부와 변호사로 성공한 조부 밑에서 유복한 유년기를 보내며 미국 남부의 아름다운 자연 풍광과 문학에 조예가 깊은 어머니의 영향을 받았다. 아버지의 사업차 이주한 옥스퍼드에서 학교를 다녔다. 그러나 어려서부터 글을 좋아하여 고교 시절 시집(詩集)을 탐독하고 스스로 시작(詩作)을 시도하였으나 고교를 중퇴하였다. 제1차 ... 1897년 9월 2일 미시시피주(州)의 뉴올버니에서 출생하였다. 1949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며, 두 차례 퓰리처상을 받았다.

남부(南部)의 명문가에서 태어나 어릴 적에 근처인 옥스퍼드로 옮겨 그의 생애의 태반을 이 곳에서 보냈다. 군인이자 작가, 정치가였던 증조부와 변호사로 성공한 조부 밑에서 유복한 유년기를 보내며 미국 남부의 아름다운 자연 풍광과 문학에 조예가 깊은 어머니의 영향을 받았다. 아버지의 사업차 이주한 옥스퍼드에서 학교를 다녔다. 그러나 어려서부터 글을 좋아하여 고교 시절 시집(詩集)을 탐독하고 스스로 시작(詩作)을 시도하였으나 고교를 중퇴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지원해서 캐나다의 영국공군에 입대하였고, 제대 후 퇴역군인의 특혜로 미시시피대학교에 입학하여 교내 정기간행물에 시를 계속해서 발표하였다. 1920년 대학도 중퇴하고 곧 고향으로 돌아와, 1924년 친구의 도움으로 처녀시집 『대리석의 목신상(牧神像) The Marble Faun』을 출판하였다.

그후 소설을 쓰기 시작하여, 1926년 전쟁으로 폐인이 된 한 공군장교를 주인공으로 한 첫작품 『병사의 보수 Soldier’s Pay』를 발표하고, 1927년 풍자소설 『모기 Mosquitoes』, 1929년 남부귀족 사토리스 일가(一家)의 이야기를 쓴 『사토리스 Sartoris』를 발표하였다. 이어 1929년 또 다른 남부귀족 출신인 콤프슨 일가의 몰락하는 모습을 그린 문제작 『음향과 분노 The Sound and the Fury』를 발표하여 일부 평론가의 주목을 끌었다.

다시 1930년 가난한 백인 농부 아내의 죽음을 다룬 『임종의 자리에 누워서 As I Lay Dying』, 1931년 한 여대생이 성불구자에게 능욕당하는 사건을 둘러싸고 살인사건이 벌어지는 작품 『성역(聖域) Sanctuary』(1931)을 발표하여 일반 독자에게도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8월의 햇빛 Light in August』(1932) 『압살롬, 압살롬 Absalom, Absalom!』(1936) 『야성의 종려(棕櫚) The Wild Palms』(1939) 『마을』 『무덤의 침입자 Intrudrer in the Dust』(1948) 『우화(寓話) A Fable』(1954, 퓰리처상 수상) 『읍내(邑內) The Town』(1957) 『저택(邸宅) The Mansion』(1959), 그리고 유머를 특색으로 하는 『자동차 도둑』(1962, 퓰리처상 수상) 등 장편소설을 계속해서 발표하였다. 이 밖에도 중편과 단편도 상당히 써서 『곰 The Bear』을 비롯한 몇 권의 단편집도 펴냈다.

『음향과 분노』는 포크너의 대표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포크너는 자신의 고향인 ‘요크나파토파군(Yoknapatawpha郡)’으로 불리는 독특한 소설공간을 창조했다. 포크너는 자신이 '우표만한 조그만 고향땅'으로 묘사한 이 공간을 소설무대로 활용하면서 자신의 특수한 삶의 경험을 보편적 언어로 극화시키는 길을 발견했다. 파격적이고 현란한 언어와 다양한 형식의 실험을 통해 몰락해가는 미국 남부사회의 독특한 정서 구조를 드러낸다. 그는 그 곳을 무대로 해서 19세기 초부터 20세기의 1940년대에 걸친 시대적 변천과 남부사회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대표적인 인물들을 등장시켜 한결같이 배덕적(背德的)이며 부도덕한 남부 상류사회의 사회상(社會相)을 고발하였다. 이것은 결국 인간에 대한 신뢰와 휴머니즘의 역설적 표현을 통해 인간의 보편적인 모습을 규명하려는 그의 의지의 발현(發現)이라 할 수 있다.

포크너는 대담한 실험적 기법과 깊은 인간통찰을 통해 자신만의 우주를 창조하였고 현대인이 안고 있는 고뇌와 그 극복의 과정을 진실하게 추구하여 세계 여러 나라 문학에 영향을 끼쳤다. 그의 작품에는 20세기 전반에 걸쳐 서구를 휩쓴 비극적 시대정신이 짙게 배어 있어 그의 세계관은 본질적으로 비극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 : 다니자키 준이치로 (Junichiro Tanizaki,たにざき じゅんいちろう,谷崎 潤一郞)
일본의 근·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 188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메이지 말기부터 쇼와 중기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며 다방면에 걸쳐 문학적 역량을 과시한 작가로, 노벨 문학상 후보에 수차례 지명되는 등 일본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탐미주의적 색채를 드러내며 여성에 대한 에로티시즘, 마조히즘 등을 극도의 아름다운 문체로 탐구하였다. 한평생 작풍이나 제재, 문장, 표현 등을 실험하며 다채로운 변화를 추구하였고, 오늘날 미스터리, 서스펜스의 선구가 되는 작품이나 활극적 역사 소설, 구전, 설화 문학에 바탕을 둔 환상 소설, 그로테스크한 블랙 유머, 고전 문... 일본의 근·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 188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메이지 말기부터 쇼와 중기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며 다방면에 걸쳐 문학적 역량을 과시한 작가로, 노벨 문학상 후보에 수차례 지명되는 등 일본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탐미주의적 색채를 드러내며 여성에 대한 에로티시즘, 마조히즘 등을 극도의 아름다운 문체로 탐구하였다. 한평생 작풍이나 제재, 문장, 표현 등을 실험하며 다채로운 변화를 추구하였고, 오늘날 미스터리, 서스펜스의 선구가 되는 작품이나 활극적 역사 소설, 구전, 설화 문학에 바탕을 둔 환상 소설, 그로테스크한 블랙 유머, 고전 문학 연구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제일 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제국 대학 국문과에 입학했지만 학비를 마련하지 못해 퇴학을 당했다. 1910년 [신사조(新思潮)]를 재창간하여 「문신」, 「기린」 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문단에 등장했고, 소설가 나가이 가후로부터 격찬을 받으며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1915년 열 살 어린 이시카와 치요코와 결혼을 했는데, 시인인 친구 사토 하루오가 그의 부인과 사랑에 빠지자 아내를 양도하겠다는 합의문을 써 [아사히신문]에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문화 예술 운동에도 관심을 가진 그는 시나리오를 써 영화화하고 희곡 『오쿠니와 고헤이』를 발표한 뒤 직접 연출하기도 했다. 또한 1924년 『치인의 사랑』을 신문에 연재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나 검열로 중단되었다.

1942년에 그는 세 번째 부인이자 희구하던 여성인 마쓰코와 그 자매들을 모델로 『세설』을 쓰기 시작했다. 1943년 [중앙공론] 신년호와 4월호와 7월호에 연재되었던 『세설』은 7월호에도 실릴 예정이었으나 「시국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발표가 금지되었다가 전후에야 비로소 작품 전체가 발표되었고, 훗날 마이니치 출판문화상과 아사히 문화상을 받았다. 1949년에는 제8회 문화 훈장을 받았고 1941년 일본 예술원 회원, 1964년 일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미국 문학예술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에 뽑히기도 했다. 1958년 펄 벅에 의해 노벨 문학상 후보로 추천된 이래 매년 후보에 올랐으며 1965년에 80세의 나이로 신부전과 심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주요작품으로는 『문신』, 『후미코의 발(富美子の足)』, 『치인의 사랑(痴人の愛)』, 『춘금초(春琴抄)』, 『미친 노인의 일기(?癲老人日記)』 등이 있으며, 무라사키 시키부의 『겐지 이야기』를 현대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사후 50년을 맞이한 2016년 저작권이 소멸되어 다수의 소설작품이 번역되었으나, 국내에는 다니자키의 극작가(희곡가)로서의 역량이 알려지지 않아 30여 편의 희곡 대부분이 미(未)번역 상태이다. 『문장의 희곡: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레제드라마』는 소설가로 데뷔하기 이전에 이미 희곡을 발표한 다니자키의 극작가로서의 숨겨진 일면을 소개하고, 1910~40년대 일본의 신극운동을 계기로 근대 초기 한일 양국의 소설가들의 희곡 창작과 레제드라마의 유행을 고찰한 연구의 성과물로 기획되었다.
저 : 토마스 하디 (Thomas Hardy)
19세기 영국의 소설가이자 시인. 1840년 6월 2일 영국 남서부 도셋 주에서 가난한 마을에서 석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하디는 석공이었던 부친의 직업을 이어받기 위해 16세까지 고향에서 건축가의 도제 생활을 했지만, 일찍부터 문학적 열정을 가지고 있었기에 독학으로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익히는 것은 물론 고전 작품을 섭렵하면서 꾸준히 예술적 소양을 쌓아 나갔다. 1856년, 남편을 살해한 마사 브라운의 교수형을 목격하는데 이것이 훗날 『더버빌 가의 테스Tess of the D'Urbervilles』의 소재가 되었다고 한다. 석공인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 교회건축가의 제자로 일... 19세기 영국의 소설가이자 시인. 1840년 6월 2일 영국 남서부 도셋 주에서 가난한 마을에서 석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하디는 석공이었던 부친의 직업을 이어받기 위해 16세까지 고향에서 건축가의 도제 생활을 했지만, 일찍부터 문학적 열정을 가지고 있었기에 독학으로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익히는 것은 물론 고전 작품을 섭렵하면서 꾸준히 예술적 소양을 쌓아 나갔다.

1856년, 남편을 살해한 마사 브라운의 교수형을 목격하는데 이것이 훗날 『더버빌 가의 테스Tess of the D'Urbervilles』의 소재가 되었다고 한다. 석공인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 교회건축가의 제자로 일하면서 독학으로 문학을 공부하면서 틈틈이 습작에 몰두하였다. 한때 건축과 문학을 종합해서 예술 비평가가 되고자 했으나 소설 『궁여지책』(1871)과 『푸른 숲 나무 아래』(1872)를 잇달아 출간한 뒤 전업 작가가 되었다.

21세 때 런던에 정착하면서 견문을 넓혀나갔고, 25세 때부터 시와 소설을 쓰기 시작하였다. 1874년 『광란의 무리를 떠나서Far from the Madding Crowd』를 발표하여 작가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1891년에 『더버빌 가의 테스』를 출간해 소설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나 내용이 사회적 통념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신랄한 공격을 받기도 했다. 1895년 『비운의 주드Jude the Obscure』를 출간하고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자 소설 집필을 완전히 접고 이후로 시 쓰기에만 몰두했다.

하디의 작품은 거의 대부분 그가 태어나고, 소설가로 대성한 후에도 살았던 웨식스 지방을 무대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한정된 지역을 무대로 삼으면서도 그의 작품은 지방색만을 내세운 문학이 아닌, 인간의 의지와 그것을 짓밟아 뭉개는 운명과의 상극을 테마로 한 비극으로 높게 평가 받는다. 또한 그의 작품은 주로 거대한 운명에 사로잡힌 인간의 불운과 시련을 사실주의적으로 그려냈으며, 기존 영국 소설의 교훈적, 도덕적 요소를 탈피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죽기까지 그는 『토박이의 귀향The Return of the Native』, 『비운의 주드』 등 14편의 장편소설 외에 900여 편이 넘는 시와 단편집, 희곡을 남겼다.

60여 년에 이르는 창작활동 기간 전반 30년은 소설에 천착했다. 「한 쌍의 푸른 눈」(1873)과 「속된 무리를 떠나서」(1874)를 잡지에 연재했으며 『에설버타의 손』(1876), 『토박이의 귀향』(1878), 『탑 위의 두 사람』(1882), 『캐스터브리지 시장』(1886), 『숲속의 사람들』(1887), 『가장 사랑하는 여인』(1892) 등을 출간했다. 후반 30년에는 시 창작에 몰두해 1898년 출간된 그의 첫 시집 『웨섹스 시집』을 비롯해서 장편 서사시극 『제왕들』3부작을 발표하는 등 1천여 편의 시를 남겼다. 하디는 영국 왕실에서 공로 대훈장(Order of Merit)을, 케임브리지대학과 옥스포드 대학 등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28년 1월 11일 88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심장은 스틴스포드에, 유해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
저 : 알퐁스 도데 (Alphonse Daudet)
남프랑스 님에서 출생. 리옹의 고등중학교에 들어갔으나 가업이 파산하여 중퇴하고, 알레스에 있는 중학교 사환으로 일하면서 청소년 시절을 보냈다. 1857년 형이 있는 파리에 가서 문학에 전념하며 시집인 『사랑에 빠진 연인들 Les Amoureuses』을 발표, 이것이 당시의 입법의회 의장 모르니 공작에게 인정받아 비서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문학에 더욱 정진하게 되었다. 그 후에 남프랑스의 시인 미스트라르를 비롯하여 플로베르, 졸라, E. 공쿠르, 투르게네프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아내 쥘리의 내조로 행복한 57년의 생애를 파리에서 보냈다. 그는 친교를 맺은 문인들과 더불어 자연주... 남프랑스 님에서 출생. 리옹의 고등중학교에 들어갔으나 가업이 파산하여 중퇴하고, 알레스에 있는 중학교 사환으로 일하면서 청소년 시절을 보냈다. 1857년 형이 있는 파리에 가서 문학에 전념하며 시집인 『사랑에 빠진 연인들 Les Amoureuses』을 발표, 이것이 당시의 입법의회 의장 모르니 공작에게 인정받아 비서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문학에 더욱 정진하게 되었다. 그 후에 남프랑스의 시인 미스트라르를 비롯하여 플로베르, 졸라, E. 공쿠르, 투르게네프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아내 쥘리의 내조로 행복한 57년의 생애를 파리에서 보냈다. 그는 친교를 맺은 문인들과 더불어 자연주의의 일파에 속했으나 선천적으로 민감한 감수성, 섬세한 시인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시적인 면이 넘치는 유연한 문체로 불행한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고향 프로방스 지방에 대한 애착심을 주제로 하여 인상주의적인 자신만의 작풍을 세웠다. 그의 문장은 보여 줄 것이 많은 예술가의 문장이자 시니컬하면서도 동정심을 담은 시인의 문장이다. 익살스런 농담에서부터 더없이 섬세한 환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주제를 다룰 수 있는 재치를 가지고 있었기에 학자들부터 군중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독자층을 매혹했다. 자신을 과시하지 않는 경험담으로 작품에 활기를 부여할 줄 알았던 그는, 세월이 흘렀어도 빛바래지 않은 다양한 작품으로 ‘아름다운 문학’을 느끼게 한다.
저 :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Anton Pavlovich Chekhov,Антон Павлович Чехов)
러시아의 대문호이자 사실주의 희곡의 대가로 불리는 안톤 체호프(Антон П. Чехов, 1860∼1904)는 러시아 남부의 흑해 연안 항구 도시인 타간로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파벨은 항구도시 타간로크에서 잡화점을 운영했다. 그는 자식들에게 새벽 기도와 성가대 활동을 강요했는데, 그것이 작가의 유년 시절의 지각(知覺)을 지배하게 된다. 중학교 때 아버지가 파산해 온 가족이 모스크바로 떠난 후 체호프는 타간로크에 혼자 남았다. 이때부터 체호프는 독립심과 가족 부양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갖게 되었다. 어려서부터 스스로 학비를 벌며 공부하던 그는 고학으로 중등학교를 마친 뒤 ... 러시아의 대문호이자 사실주의 희곡의 대가로 불리는 안톤 체호프(Антон П. Чехов, 1860∼1904)는 러시아 남부의 흑해 연안 항구 도시인 타간로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파벨은 항구도시 타간로크에서 잡화점을 운영했다. 그는 자식들에게 새벽 기도와 성가대 활동을 강요했는데, 그것이 작가의 유년 시절의 지각(知覺)을 지배하게 된다. 중학교 때 아버지가 파산해 온 가족이 모스크바로 떠난 후 체호프는 타간로크에 혼자 남았다. 이때부터 체호프는 독립심과 가족 부양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갖게 되었다.

어려서부터 스스로 학비를 벌며 공부하던 그는 고학으로 중등학교를 마친 뒤 1879년 모스크바대학 의학부에 입학했다. 재학 중에 가족을 부양하기 위하여 단편소설들을 쓰기 시작했고, 졸업 후 의사로 근무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에 나섰다. ‘안토샤 체혼테’, ‘내 형의 아우’, ‘쓸개 빠진 남자’와 같은 필명으로 생계를 위해 유머 잡지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의 초기 단편들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가벼운 소품들이 대부분이었다. 1885년 12월 체호프는 레이킨의 초대를 받아 페테르부르크로 가게 된다.

거기서 드미트리 바실리예비치 그리고로비치와 알렉세이 세르게예비치 수보린을 알게 된다. 1884년 의사 자격을 얻은 후 결핵을 앓는 와중에도 의료 봉사와 글쓰기를 병행하며 풍자와 유머가 담긴 뛰어난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리고로비치는 체호프의 『사냥꾼』을 읽으면서 그의 위대한 재능이 소모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이 무렵 그에게 당대 최고의 작가 그리고로비치가 천재적인 재능을 낭비하지 말고 문학에 집중하라는 조언의 편지를 보내 온다.

이 충고 이후 1887년 봄 무렵부터 체호프는 이전과는 다른, 보다 객관적인 작가로 변모하게 된다. 한편으로 수보린은 체호프에게 고정 지면을 내주었고, 경제적 후원자가 되어 주었다. 그의 경제적 후원 덕택에 체호프는 원고 마감 시간과 주제의 제약과 같은 현실적 부담에서 벗어나 전업 작가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황야』, 『지루한 이야기』, 『등불』 등을 발표하며 작가로서의 위치를 굳히게 되었고, 30세 때 시베리아 횡단 여행을 기점으로 사회문제를 주제로 한 작품을 많이 다루며 사회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작가로서의 자각을 새로이 하여 단편집 『황혼』(1887)으로 푸슈킨상을 받고 희곡 『이바노프』(1887), 중편소설 『대초원』(1888)을 발표하며 그동안의 스타일에 작별을 고했다. 1890년에는 사할린 섬으로 가 당시 제정 러시아의 유형 제도를 면밀히 관찰하고 이에 관한 르포르타주 『사할린 섬』(1895)을 발표한다. 이 작품은 대중의 엄청난 주목을 받았으며, 사할린에서 만난 하층민 유형수들과 정부 제도의 부조리는 이후 발표되는 그의 작품이 민중의 삶에 더욱 밀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1892년 모스크바 근교의 멜리호보에 정착한 작가는 왕성한 창작열로 『6호실』(1892), 『문학 선생』(1889∼1894), 『롯실트의 바이올린』(1894), 『대학생』(1894), 『3년』(1895), 『다락이 있는 집』(1896), 『나의 삶』(1896), 『갈매기』(1896), 『농군들』(1897)과 같은 후기 걸작들을 집필했다.

한편으로 농민들을 무료로 진료하고, 톨스토이, 코롤렌코와 함께 기근(饑饉)과 콜레라 퇴치 자선사업을 펼쳤으며, 학교와 병원 건립 등 사회사업에도 참여했다. 1898년 지병인 결핵이 악화되어 크림 반도의 얄타로 이사한 체호프는 우울과 고독 속에서 나날을 보냈는데, 모스크바 예술극장 여배우 올가 크니페르와의 결혼으로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된다. 이 시기에 그는 『용무가 있어서』(1899), 『사랑스러운 여인』(1899),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1899), 『바냐 외삼촌』(1899), 『골짜기에서』(1900), 『세 자매』(1901), 『약혼녀』(1903) 등을 발표했다.

1904년 1월 17일 체호프의 생일에 초연된 [벚나무 동산]과 창작 25주년 축하연은 그에게 무한한 기쁨을 주었지만, 그의 건강은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었다. 같은 해 6월 독일 바덴베일레르(Баденвейлер)로 아내 올가 크니페르와 요양을 떠나 거기서 생을 마감했다.
저 : 오 헨리 (O. Henry,윌리엄 시드니 포터William Sydney Porter)
미국 단편 소설 작가로서 본명은 윌리엄 시드니 포터(William Sydney Porter).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즈버러에서 태어났다. 보통 사람들, 특히 뉴욕 시민들의 생활을 낭만적으로 묘사했다. 그의 단편 소설들은 우연의 일치가 작중인물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하고 냉소적인 유머를 통해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갑작스런 결말로 인해 극적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법은 그의 등록상표가 되다시피했으나 그런 수법의 유행이 한물가자 평론가들은 바로 그런 수법 때문에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지 않게 되었다. 그는 숙모가 교사로 있는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졸업 후에는 숙... 미국 단편 소설 작가로서 본명은 윌리엄 시드니 포터(William Sydney Porter).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즈버러에서 태어났다. 보통 사람들, 특히 뉴욕 시민들의 생활을 낭만적으로 묘사했다. 그의 단편 소설들은 우연의 일치가 작중인물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하고 냉소적인 유머를 통해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갑작스런 결말로 인해 극적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법은 그의 등록상표가 되다시피했으나 그런 수법의 유행이 한물가자 평론가들은 바로 그런 수법 때문에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지 않게 되었다.

그는 숙모가 교사로 있는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졸업 후에는 숙부의 잡화상에서 점원으로 일했다. 1882년 텍사스로 가서 농장, 국유지 관리국을 거쳐 오스틴에 있는 제1국립은행의 은행원으로 일했다. 이러한 경험은 후에 그의 작품 「20년 뒤」나 「경찰관과 찬송가」 등에서 고스란히 나타난다. 1894년 주간지 [롤링 스톤 The Rolling Stone]지를 창간했으나 사업은 실패로 끝났다. 이후 <휴스턴 포스트 Houston Post>에서 기자, 칼럼니스트로 활동했고 가끔 만화도 기고했다.

1887년 애설 에스티스와 결혼했으며, 이무렵부터 습작(習作)을 시작했다. 1896년 2월 은행 공금횡령 혐의로 기소되었다가 친구들의 도움으로 온두라스로 도피했다. 그러나 아내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오스틴으로 돌아왔고, 당국의 배려로 재판은 아내가 죽을 때까지 연기되었다. 그는 최소한의 형을 받고 1898년 오하이오의 컬럼버스에 있는 교도소에 수감되었으며 모범적인 복역으로 형기는 3년 3개월로 줄어들었다. 그는 교도소의 병원에서 야간에 약제사로 일하면서 딸 마거릿의 부양비를 벌기 위해 글을 썼다.

미국 남서부와 중남미를 무대로 한 그의 모험소설은 즉각 잡지 독자들로부터 인기를 얻었으며 그는 출감하면서 이름을 W. S. 포터에서 O. 헨리로 바꾸었다. 1902년 헨리는 스스로 '지하철위에 건설된 바그다드'라고 묘사했던 도시인 뉴욕에 도착했다. 1903년 12월부터 1906년 1월까지 그는 뉴욕의 [월드 World]에 매주 글을 쓰면서 동시에 잡지에도 기고했다.

최초의 소설집 『캐비지와 왕 Cabbages and Kings』(1904)은 온두라스를 배경으로 이국적인 인물들이 펼치는 이야기이며 『400만 The Four Million』(1906)·『The Trimmed Lamp』(1907)는 뉴욕 시민들의 일상 생활과 낭만과 모험에 대한 추구를 묘사했고, 『서부의 마음 Heart of the West』(1907)는 텍사스 산맥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환상적인 내용의 소설이다.

헨리의 말년은 자신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악화된 건강, 금전상 압박과의 싸움, 알코올 중독 등으로 얼룩졌다. 1907년에 한 재혼은 불행했다. 1910년 6월 5일, 과로와 간경화, 당뇨병 등으로 뉴욕 종합병원에서 사망했다. 사후에 『Sixes and Sevens』(1911)·『뒹구는 돌 Rolling Stones』(1912)·『Waifs and Strays』(1917) 등 3권의 선집이 나왔다. 나중에 즉흥적으로 쓴 소설과 시를 모은 『O. 헨리 선집 O. Henryana』(1920)·『Letters to Lithopolis』(1922)와 초기의 작품을 모은 2권의 책 『Houston Post, Postscripts』(1923)·『O. Henry Encore』(1939)가 출간되었다. 『경찰관과 찬송가 The Cop and the Anthem』·『마지막 잎새 The Last Leaf』 등의 단편에서 보이는 따뜻한 휴머니즘은 독자의 심금을 울린다.

제럴드 랭퍼드가 쓴 전기 『앨리어스 O. 헨리 Alias O. Henry』가 1957년에 나왔다. 대표 작품 소설로는 『현자의 선물』, 『경찰관과 찬송가』, 『마지막 잎새』, 『양배추와 왕』, 『크리스마스 선물』, 『20년 후』, 『운명의 길』이 있다.
저 : 아르투어 슈니츨러 (Arthur Schnitzler)
186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 빈에서 부유한 유태인 의학교수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몇 번의 여행을 제외하고는 평생 빈을 떠나지 않았다. 부친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의학을 공부해서 의사가 되었다. 1886년부터 병원에서 일했고 1893년에는 자신의 병원을 개업했으나, 생의 대부분을 작가로 활동했다. 작가로 성공하여 부와 명성을 얻기도 하지만 도박과 낭비로 수차례 어려움을 자초했고, 젊은 시절의 여성 편력은 카사노바의 환락과 모험을 옮겨놓은 듯했다. 실존 인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낯선 또는 병적인 그의 삶은 14세 때부터 죽는 날까지, 처음 3년을 제외하고는 하루... 186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 빈에서 부유한 유태인 의학교수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몇 번의 여행을 제외하고는 평생 빈을 떠나지 않았다. 부친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의학을 공부해서 의사가 되었다. 1886년부터 병원에서 일했고 1893년에는 자신의 병원을 개업했으나, 생의 대부분을 작가로 활동했다.

작가로 성공하여 부와 명성을 얻기도 하지만 도박과 낭비로 수차례 어려움을 자초했고, 젊은 시절의 여성 편력은 카사노바의 환락과 모험을 옮겨놓은 듯했다. 실존 인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낯선 또는 병적인 그의 삶은 14세 때부터 죽는 날까지, 처음 3년을 제외하고는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한 일기에 담겨 있다. 작품 활동 초기에는 주로 희곡을 집필했으며, 후고 폰 호프만슈탈(Hugo von Hofmannsthal, 1874∼1929)과 친구였고, 스스로 자신의 “정신적 도플갱어”라고 칭했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기법을 많이 사용했다.

1895년 단편 「죽음 Sterben」을 발표하면서 작가로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같은 해 빈 부르크테아터에서 초연된 「사랑의 유희 Liebelei」를 통해 드라마 작가로서도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수련의 시절부터 히스테리와 최면 등 인간의 무의식과 심리를 다루는 정신의학 분야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러한 관심은 그의 문학에서도 드러난다. 작가 슈니츨러는 ‘내적 독백’과 같은 혁신적인 서사기법을 통해 인간의 은밀한 내면과 무의식을 여과 없이 표면으로 끌어낸다.

장교, 예술가, 의사 등 당시 빈의 부유한 시민계급을 대표하는 인물의 은밀한 내면을 들여다봄으로써 비판에 부딪치기도 했고, 합스부르크 제국의 장교의 1인칭 독백을 담은 소설 『구스틀 대위 Lieutnant Gustl』(1901)로 명예재판에 회부되어 제국의 장교신분을 박탈당한다. 성적 타부를 건드리는 연작 드라마 「윤무 Der Reigen」는 외설로 낙인찍히기도 했다.

『카사노바의 귀향 Casanovas Heimfahrt』(1918), 『엘제 양 Fraulein Else』(1926), 『꿈의 노벨레 Traumnovelle』(1926)를 통해 세기말 빈 시민사회의 위선과 이중적인 윤리의식을, 『트인 데로 가는 길 Der Weg ins Freie』(1908)에서 반유대주의, 세기 전환기의 몰락해가는 합스부르크 제국과 오스트리아 사회, 민족주의와 정치적인 혼란 속에서 무기력한 빈 부르주아의 파노라마를 보여준다.

대표적인 희곡으로 『아나톨(Anatol)』, 『사랑의 유희(Liebelei)』, 『윤무(Reigen)』, 『광활한 땅(Das weite Land)』, 『베른하르디 교수(Professor Bernhardi)』 등을 들 수 있다. 만년에는 희곡보다 소설을 썼으며, 대표적인 단편소설로 『구스틀 소위(Leutnant Gustl)』, 『엘제 양(Fraulein Else)』, 『야외로 가는 길(Der Weg ins Freie)』 등이 있다.
저 : 테오도어 슈토름 (Storm, Hans Theodor Woldsen)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의 작은 항구도시 후줌에서 태어났고, 킬 대학과 베를린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했다. 대학시절 하이네, 아이헨도르프, 뫼리케 등 독일 낭만주의 문학의 거장들과 교류했으며 몸젠 형제와 함께 서정시집 『세 친구의 노래집』을 출판했다. 1843년 고향에서 변호사 개업을 했으며, 당시 덴마크의 지배하에 있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해방을 위한 항쟁에 가담하면서 변호사 자격을 잃고 10여 년간 객지를 떠돌았다. 1864년 독일군이 승리하자 후줌의 지사로 당선되어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즈음 작품 활동에 위기가 왔으나 곧 극복하고 상급법원과 지방법원의 판사를 하면서 작가로서도 ...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의 작은 항구도시 후줌에서 태어났고, 킬 대학과 베를린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했다. 대학시절 하이네, 아이헨도르프, 뫼리케 등 독일 낭만주의 문학의 거장들과 교류했으며 몸젠 형제와 함께 서정시집 『세 친구의 노래집』을 출판했다. 1843년 고향에서 변호사 개업을 했으며, 당시 덴마크의 지배하에 있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해방을 위한 항쟁에 가담하면서 변호사 자격을 잃고 10여 년간 객지를 떠돌았다. 1864년 독일군이 승리하자 후줌의 지사로 당선되어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즈음 작품 활동에 위기가 왔으나 곧 극복하고 상급법원과 지방법원의 판사를 하면서 작가로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1880년 은퇴한 후에 창작에 전념했다. 1852년 『임멘 호수』는 우리나라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1888년에 출간된 『백마를 탄 사람』은 그의 마지막 작품이다.
저 : 바실리 악쇼노프
러시아 소설가. 1932~2009년. 러시아 카잔 출생. 1960년에 중편소설 「동기생」을 발표하여 일약 유명해졌으며, 그 후 장편소설 『별나라로 가는 차표』와 단편소설 「달로 가는 도중에」 등의 작품을 연이어 발표, 1960년대 소련문학의 새로운 기수가 되었다. 초기 작품에서 새로운 세대에 대한 대담한 표현으로 젊은 층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으나, 소련 체제하에서 보수적인 비평가로부터 혹평을 받으며 1980년 미국으로 건너가 주로 생활했다. 이후 작품인 「강철새」, 「화상(火像)」 등은 현대 소련을 다루면서도 다분히 실험적 성향을 보여 현대 러시아문학 속의 ‘서유럽파’로도 불렸다. 러시아 소설가. 1932~2009년. 러시아 카잔 출생. 1960년에 중편소설 「동기생」을 발표하여 일약 유명해졌으며, 그 후 장편소설 『별나라로 가는 차표』와 단편소설 「달로 가는 도중에」 등의 작품을 연이어 발표, 1960년대 소련문학의 새로운 기수가 되었다. 초기 작품에서 새로운 세대에 대한 대담한 표현으로 젊은 층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으나, 소련 체제하에서 보수적인 비평가로부터 혹평을 받으며 1980년 미국으로 건너가 주로 생활했다. 이후 작품인 「강철새」, 「화상(火像)」 등은 현대 소련을 다루면서도 다분히 실험적 성향을 보여 현대 러시아문학 속의 ‘서유럽파’로도 불렸다.
저 : 프랑수아 샤토브리앙
프랑스 작가이자 정치가. 1768~1848년. 생 말로 출생. 화려하고 섬세한 정열의 문체를 가진 19세기 프랑스 낭만파 문학의 선구자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그리스도교의 정수』, 『순교자들』, 『르네』, 그리고 자서전 『무덤 저편의 추억』 등이 있다. 특히, 『그리스도교의 정수』로 나폴레옹의 인정을 로마대사관의 비서관으로 임명되며 한때 외무대신의 위치에 오르기도 했다. 프랑스 작가이자 정치가. 1768~1848년. 생 말로 출생. 화려하고 섬세한 정열의 문체를 가진 19세기 프랑스 낭만파 문학의 선구자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그리스도교의 정수』, 『순교자들』, 『르네』, 그리고 자서전 『무덤 저편의 추억』 등이 있다. 특히, 『그리스도교의 정수』로 나폴레옹의 인정을 로마대사관의 비서관으로 임명되며 한때 외무대신의 위치에 오르기도 했다.
편 : 이문열 (Lee Mun-yol,李文烈,이열)
1948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북 영양, 밀양, 부산 등지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수학했으며.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 「새하곡」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이후 「들소」, 「황제를 위하여」, 「그해 겨울」, 「달팽이의 외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 여러 작품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현란한 문체로 풀어내어 폭넓은 대중적 호응을 얻었다. 특히 장편소설 『사람의 아들』은 문단의 주목을 이끈 대표작이다. 한국 전쟁 당시 공산주의자였던 아버지 이원철이 홀로 월북을 하는 등 순탄치 않은 어린 시절을 보내고 중고등학교 중퇴 후 검정고시로... 1948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북 영양, 밀양, 부산 등지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수학했으며.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 「새하곡」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이후 「들소」, 「황제를 위하여」, 「그해 겨울」, 「달팽이의 외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 여러 작품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현란한 문체로 풀어내어 폭넓은 대중적 호응을 얻었다. 특히 장편소설 『사람의 아들』은 문단의 주목을 이끈 대표작이다.

한국 전쟁 당시 공산주의자였던 아버지 이원철이 홀로 월북을 하는 등 순탄치 않은 어린 시절을 보내고 중고등학교 중퇴 후 검정고시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 입학하였으나, 다시 사법고시를 준비하는 등의 굴곡 많은 인생을 살아왔다. 그의 창작에 대한 열정은 남다르다. [대구매일신문]에 「나자레를 아십니까」가 가작으로 뽑힐 때까지 많은 좌절을 경험한다. 초등학교를 제외하고는 서울대 사범대까지 모두 중도에 포기했으며, 신춘문예, 사법고시 등에서 연이어 실패를 맛 보았다.

1994년 학문 연구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교수제의를 받아들여 세종대 강단에 섰으나 3년만에 개인적인 이상실현의 문제와 작가로서 충분히 작품 세계를 이룩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해지는 것을 우려, 창작에 전념하기 위해 교수직을 사임했다. 2003년 12월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조각가 친구의 권유로 경기도 이천에 작업실을 마련했고, 그곳에 인문학적 교양을 쌓고 깊은 학문 연구를 할 수 있는 조그만 자리를 젊은 친구들에게 마련해주고자 뒷동산 부아악負兒岳이라는 산 이름을 따와 「부악문원」을 설립하여 새로운 지식의 샘을 젊은 학도들과 함께 탐구하려는 열정을 보이고 있다.

2000년 5월 이문열의 책 판매량이 2천만 권을 넘어섰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 가운데 삼국지, 수호지 평역을 제외한 순수 창작물의 판매량이 천만 권 이상이라니, 한국인 4명에 한 명은 그의 소설책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각종 문학상 수상작품집 등을 따지면 그의 글을 집에 가지고 있지 않은 한국인은 없다고 해도 무리한 주장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상업적 성공은 이문열을 이해하는 단서 가운데 작은 하나일 뿐이다.

이문열의 작품 세계엔 그의 경험이 고스란이 담겨 있다. 월북한 아버지로 인한 좌절, 전통적인 가풍의 집안은 그의 경험이며, 동시에 그의 소설에서 쉽사리 읽어낼 수 있는 특징이다. 『사람의 아들』, 『황제를 위하여』, 『금시조』, 『선택』 등의 책은 이런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다. 중요한 것은 그의 경험이 한국 현대가 겪고 있는 현실과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그가 거듭 묻는 질문, 전통과 현대의 문제, 분단 상황의 문제 등은 바로 그의 경험에서 나온 것들이며 한국사회가 피할 수 없는 질문들이다.

이 질문들에 대한 이문열의 대답은 보수적이고 전통지향적인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선 수구주의나 남성우월주의로 비판받기도 했다. 『선택』을 둘러싼 논쟁이나, 총선연대 활동이나, 언론개혁을 둘러싼 논쟁이 그것이다. 이문열이 자신의 소설에 담고 있는 주장이 무엇이든 그가 소설을 통해, 또는 소설 속에서 던지는 질문이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바로 그 문제라는 것은 확실하다.

한국문학에 미치는 영향력이 워낙 커서 문학 작품이 발표될 때마다 많은 찬사와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지만, 가장 많은 독자층을 가지고 있는 이 시대 대표 작가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 오늘의 작가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호암예술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2015년 은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현재 미국, 프랑스 등 전 세계 20여 개국 15개 언어로 번역, 출간되고 있다.

작품으로 장편소설 『젊은날의 초상』, 『영웅시대』, 『시인』, 『오디세이아 서울』, 『선택』, 『호모 엑세쿠탄스』 등 다수가 있고, 단편소설 『이문열 중단편 전집』(전 6권), 산문집 『사색』, 『시대와의 불화』, 『신들메를 고쳐매며』, 대하소설 『변경』(전12권), 『대륙의 한』(전5권)이 있으며, 평역소설로 『삼국지』, 『수호지』, 『초한지』가 있다.
역 : 장경렬
장경렬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학교 대학원 영문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문과 명예교수이다. 평론집으로 『미로에서 길 찾기』(1997), 『신비의 거울을 찾아서』(2004), 『응시와 성찰』(2007), 『시간성의 시학』(2013), 『즐거운 시 읽기』(2014),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2016), 『예지와 무지 사이』(2017), 『꽃잎과 나비, 그 경계에서』(2017),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아야 하는 것』(2017), 『삶에서 문학으로, 문학에서 삶으로』(2020) 등이 있으며 문학이론 연... 장경렬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학교 대학원 영문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문과 명예교수이다. 평론집으로 『미로에서 길 찾기』(1997), 『신비의 거울을 찾아서』(2004), 『응시와 성찰』(2007), 『시간성의 시학』(2013), 『즐거운 시 읽기』(2014),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2016), 『예지와 무지 사이』(2017), 『꽃잎과 나비, 그 경계에서』(2017),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아야 하는 것』(2017), 『삶에서 문학으로, 문학에서 삶으로』(2020) 등이 있으며 문학이론 연구서로 The Limits of Essentialist Critical Thinking (『본질주의 비평적 사유의 한계』, 1990), 『코울리지』(2006), 『매혹과 저항』(2007)이 있다. 번역서로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Robert Pirsig, 2010), 『노인과 바다』(Ernest Hemingway, 2012), 『백내장』(John Berger, 2012), 『젊은 예술가의 초상』(James Joyce, 2012), 『라일라』(Robert Pirsig, 2014), 『학제적 학문 연구』(Joe Moran, 2014) 등이 있다.
역 : 진형준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홍익대학교 문과대학장, 세계상상력센터 한국 지회장, 한국상상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문학평론가이자 불문학자 그리고 한국문학번역원 원장으로서 한국이 주빈국이던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을 성공적으로 주관하며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했다. 이런 활동의 연장선에서 생각하는 힘: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 시리즈를 기획하여 출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프리메이슨 비밀의 역사』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홍익대학교 문과대학장, 세계상상력센터 한국 지회장, 한국상상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문학평론가이자 불문학자 그리고 한국문학번역원 원장으로서 한국이 주빈국이던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을 성공적으로 주관하며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했다. 이런 활동의 연장선에서 생각하는 힘: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 시리즈를 기획하여 출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프리메이슨 비밀의 역사』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보훔루르대학에서 수학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독문학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한남대학교 문과대학장, 사회문화대학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남대학교 인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극 <어느 혁명가의 죽음>,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을 연출했다. 지은 책으로는 『하우푸트만의 사회극 연구』, 옮긴 책으로는 『게르만 신화 연구』, 『드라마 분석론』, 『오디세우스의 귀향』과 희곡 『에밀리아 갈로티』, 『녹색의 앵무새』, 『갈릴레이의 생애』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보훔루르대학에서 수학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독문학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한남대학교 문과대학장, 사회문화대학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남대학교 인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극 <어느 혁명가의 죽음>,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을 연출했다. 지은 책으로는 『하우푸트만의 사회극 연구』, 옮긴 책으로는 『게르만 신화 연구』, 『드라마 분석론』, 『오디세우스의 귀향』과 희곡 『에밀리아 갈로티』, 『녹색의 앵무새』, 『갈릴레이의 생애』 등이 있다.
역 : 권희주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일어일문학 박사를 취득하고 건국대학교 KU중국연구원 동아시아문화연구센터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읽는만큼 보이는 일본-일본문학상 산책』,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 『근대 일본의 ‘조선 붐’』(이상 공저)이 있으며, 『후쿠자와 유키치의 젠더론』(공역), 『그린 투어리즘』 등을 번역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일어일문학 박사를 취득하고 건국대학교 KU중국연구원 동아시아문화연구센터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읽는만큼 보이는 일본-일본문학상 산책』,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 『근대 일본의 ‘조선 붐’』(이상 공저)이 있으며, 『후쿠자와 유키치의 젠더론』(공역), 『그린 투어리즘』 등을 번역했다.
역 : 정서웅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독일학술교류처(ADDA) 초청으로 독일 브레멘대학 교환교수, 숙명여대 독어독문학과 교수를 지냈다. 옮긴 책으로 『독일어 시간』, 『콜린』, 『크눌프 로스할데』, 『환상소설집』, 『스퀴데리 양』, 『베네치아와 시인들』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독일학술교류처(ADDA) 초청으로 독일 브레멘대학 교환교수, 숙명여대 독어독문학과 교수를 지냈다. 옮긴 책으로 『독일어 시간』, 『콜린』, 『크눌프 로스할데』, 『환상소설집』, 『스퀴데리 양』, 『베네치아와 시인들』 등이 있다.
역 : 이동현
육군사관학교 노어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 등을 역임하고, 『카라마조프네 형제들』로 1970년 국제팬클럽 한국번역문학상을 수상했다. 옮긴 책으로는 『대위의 딸』, 『검찰관』, 『외투』, 『코』, 『카라마조프네 형제들』, 『백치』, 『죄와 벌』, 『크로이처 소나타』, 『결혼의 행복』, 『의사 지바고』 등이 있다. 육군사관학교 노어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 등을 역임하고, 『카라마조프네 형제들』로 1970년 국제팬클럽 한국번역문학상을 수상했다. 옮긴 책으로는 『대위의 딸』, 『검찰관』, 『외투』, 『코』, 『카라마조프네 형제들』, 『백치』, 『죄와 벌』, 『크로이처 소나타』, 『결혼의 행복』, 『의사 지바고』 등이 있다.
역 : 오국근
동국대학교 부총장, 문과대학장 등을 역임하고,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옮긴 책으로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달과 6펜스』, 『무기여 잘있거라』, 『아들과 연인』, 『제인 에어』, 『폭풍의 언덕』, 『동물농장』, 『노인과 바다』, 『첫 무도회』, 『젊은 사자들』, 『백경』, 『서머셋 모옴 전집』 등이 있다. 2016년 별세하였다. 동국대학교 부총장, 문과대학장 등을 역임하고,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옮긴 책으로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달과 6펜스』, 『무기여 잘있거라』, 『아들과 연인』, 『제인 에어』, 『폭풍의 언덕』, 『동물농장』, 『노인과 바다』, 『첫 무도회』, 『젊은 사자들』, 『백경』, 『서머셋 모옴 전집』 등이 있다. 2016년 별세하였다.

출판사 리뷰

■달처럼 닿지 않는 그녀와의 거리 ? 바실리 악쇼노프 ‘달로 가는 도중에’

찰나의 순간, 누군가와 사랑에 빠지는 그 마법 같은 순간. 보통의 시작은 낯섬, 혹은 결여다. 스스로에 결핍된 육체적, 지적, 미적, 물질적인 무엇에 대한 갑작스런 발견, 혹은 ‘상대적 박탈감’일 수도 있다. 익숙해져서 잊었거나 주변에 없던 자극에 대한 반응이다. 빼어난 외모나 타고난 힘, 출중한 재주, 잠깐의 대화로도 느껴지는 깊이 모를 정신세계와 지적인 축적 같은. 다르게는 극복할 수 없는 압도적 재력 차이와 드물게 ‘팜므 파탈’ 같은 성적 매력 앞에서도 쉽게 사람들은 공손해지고, 호기심과 경외감, 드물게는 ‘유사’ 사랑으로 발전한다. 물론 역으로 동정과 연민, ‘동어반복’(알콜중독자의 딸이 다시 알콜중독자와 결혼하는 경우처럼) 같은, 썩 논리적이지 못한 우월감이 만든 격차도 있겠다.
그렇게 스스로의 예상치를 벗어나는 대상을 접한 감정은 짧든 길든 격렬해지기 마련. 호기심, 호의, 존경, 경악, 질투, 불신, ... 어느 것이 먼저이든, 무엇으로 이어지든. 그 사랑의 깊이와 지속시간은 대부분 그 다음 문제다. 그 순간 견고한 방어기제가 사실상 전략적인 ‘거리두기’에 성공하기란 참으로 어렵다. 익숙한 제 모습을 수면에서 재발견하는 것(나르시시즘)조차 존재를 파멸로 이끄는 설득력 있는 신화적 상징, 많은 경우 피하기 힘든 사랑의 비유로 남아있다.
그래서 사랑은 언제나 인간사에 가장 특별한 일 중 하나, 동서고금을 통틀어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 목록에 꼭 넣고 싶어하는 주제다. 사랑 이야기를 쓰고 싶어 작가가 되었다고 하는 경우도 여럿이다. 그렇다고 반드시 그 대상이 특별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꼭 머리칼이 뱀인 메두사나 하반신이 말인 켄타우로스족처럼 눈에 틔는 특이점이 있어야 맹목적인 열정에 빠지는 게 아니다. (메두사가 여신 아테나의 질투를 살만큼 미인이었다든가, 헤라클레스의 스승이었던 케이론이 켄타우로스족임은 잠시 잊어두자.)
그런 의미에서 러시아 작가 바실리 악쇼노프의 ‘달로 가는 도중에’ 역시 비슷한 경우다. 주인공 발레리 키르피첸코는 ‘상남자’다. 유배지로 유명한 사할린 벌목현장에서 일하는 트럭 운전사인 그는 어린 시절 부모를 모두 잃고 고아원과 군대, 수용소를 거쳐 현장 합숙소까지 거친 생활을 이어왔다. 작가의 표현대로 ‘수틀리면 그 자리에서 한 방 먹여 상대방의 눈이 시퍼렇게 멍들도록 만드는 그런 사람’이자 ‘기계를 좋아하고 현재 생활이 만족스러’운 사내다. 그런 그가 여름 휴양지로 가던 비행기 안에서 스튜디어스 타냐에 반해 중간 기착지인 모스크바와 하바롭스크를 오가며 돈과 시간을 모두 써버리는 얘기다. 그 사이 끼어드는 사건이래야 동료 바닌의 여동생 라리사과 사흘 남짓 짧은 흥청거림 정도다. 물론 연애경험이 없지 않은 그에게 그녀는 ‘그처럼 형편없는 가격에 자신을 팔 인물’이 아님을 되뇌이게 만드는 대상에 그친다.
인상적인 것은 발레리의 감정선이다. 작가는 수사적이거나 감상적인 과장 없이, 담담한 대화처럼 전지적 관점으로 그를 들여다보지만 이렇다 할 기복이 없다. 몇 마디 타냐와의 가벼운 대화, 떼지 못한 시선 끝에 그녀는 ‘이 세상 사람이 아닌 듯한 자태’로 승격되고, ‘그녀를 통해 자신의 아기를 갖고 싶다는 충동’까지 갖는 대상이 된다. 그렇지만 순간의 욕정과는 조금 다르다. “... 사람들이 아기를 갖고 싶어할 때 하는 짓거리를 그녀에게 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그에게는 좀처럼 들지 않았다. 그런 일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것이다. ...” 그냥 그렇게 타냐는 발레리에게 들어온다. 앞서 며칠 전 라리사와의 며칠 이후 결혼을 강요하는 동료를 거칠게 두들겨주는가 하면, 공항에 배웅 나와 눈물 글썽이는 라리사에게 하염없이 약해지는 감정 변화 같은 것이 타냐를 상대로는 없다.
유배생활 같은 벌목장에서 떠나 1년에 단 한 번, 평소라면 술, 도박 외엔 쓸 곳도 없는 돈을 탕진하러 가는 목적 없는 휴가. 비싼 양복을 맞추고 거들먹거리며 술과 여자에 돈을 탕진할 기대에 찬 발레리가 타냐 앞에서 한 마리 순한 양 같은 사내가 됐다. 여드름 가득한 중학생이 첫사랑 겪듯 설레인다. 매사에 거침없던 그가 그녀에게는 적극적으로 지분대지도 유혹하지도 않고, 구체적인 계획도 없이 매양 비행기 표를 끊는다. 우연히 마주쳐도 눈인사 이상 접근해 말을 걸 마음이 없다. 그저 양복을 사고 책을 읽고 공항과 모스크바 시내를 어슬렁거리고 그녀가 있을지 모를 같은 노선 비행기를 갈아타며 달뜬다.
그렇다고 그녀가 대단히 특별한 여자로 묘사되지도 않는다. 칠흑 같은 머리, 섬세한 손가락, 멋진 미소, 그리고 매혹적인 목소리 정도다. 스스로도 생각하듯 공항에서 비행기에서 모스크바시내에서 비슷한 수준의 외모, 느낌을 주는 여자는 많았다. “... 고리키 거리에 나가 보니 천지에 온통 타냐가 널려 있었다. 그녀는 전차를 타거나 내리기도 하고, 상점에 들어가기도 했다. 그녀는 또한 길 건너편에서 불량 소년 차림의 젊은 아이와 어슬렁거리기도 하고, 심지어 상점의 진열장 창문 저쪽에서 미소를 던지기도 했다. ...”
다만 (거리 가득한 미녀들이) 그녀가 아니고, (그에게는 꼭) 그녀여야 한다는 차이다. “... 다듬고 칠한 손톱, 굽이 높은 구두 위의 늘씬한 다리, 갖은 정성을 들여 손질한 머리는 비할 바 없는 경이로움을 선사했었지만, 결국에는 단조롭고 김빠진 것처럼 보이기 마련인 ...”, 그간 스쳐지나간 여자들처럼 ‘한때의 바람’이 아닌 것이다. 모스크바에서도 그는 헌팅하러 가자는 동료의 유혹에도 불구하고 차라리 호텔에서 잠을 자고 체호프를 읽는 쪽을 택한다. 그녀를 떠올리면 다가오는 ‘느긋한 평온감과 행복감에 다시금 도취’되면서.
휴가는 그것으로 빠르게 지나간다. 하바롭스크와 모스크바를 오가며 여기가 어딘지 몇 시인지 감각을 잃을 정도가 되고, 심지어 조종사, 스튜어디스와 낯이 익는 사이. 물론 태어나 이만큼 많은 책을 읽고, 자신의 삶에 대해 생각하고, 느닷없이 울어본 적이 없달 정도의 새로운 경험이다. 게다가 이처럼 멋진 휴가를 보냈다고 생각한 적이 없을 만큼 만족스럽다.
그렇게 다시 벌목현장으로 돌아오는 그에게 감정변화는 없다. 그간 비행기로 오간 거리를 계산하며, 그녀라는 ‘달’에 닿는 거리를 가늠할 뿐이다. 사할린에서 유즈니를 거쳐 하바롭스크와 모스크바를 여러번 오간 거리, 가까이 볼 수 있지만 갈 수 없는 저 달과의 거리(약 38만km)가 그리 차이 나지 않음을 생각하면서. 그리고 중얼거린다. “그렇게 멀진 않은데. ... 아무것도 아니군.”
돌아가는 공항에서 멀찍이 타냐를 응시하며 그는 생각한다. “... 트럭을 몰고 능선으로 올라가는 동안 그녀를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일단 능선에 올라가면 너무도 생각해야 될 일이 많아서 그녀에 대한 생각은 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산허리까지 내려오게 되면 다시금 그녀 생각이 나리라. 그리고는 저녁 내내 그리고 밤새도록 그녀 생각을 하게 되리라. 다음 날 아침에는 그녀를 생각하면서 잠에서 깨어나리라. ...”
덧붙이자면 러시아와 미국을 오가며 작품활동을 했던 작가 바실리 악쇼노프는 국내에 여전히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다. 지난 2009년 별세했다지만 해외 위키피디아를 통하지 않으면 검색도 잘 되지 않고, 책도 모두 절판돼 도서관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20~30년 전쯤 소련을 필두로 견고했던 동구 공산주의 진영이 무너지며 잠시 근현대 작가들이 소개되기도 했지만 이제는 독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작가다. 그러다보니 현재 출판되는 것은 이 중단편선집이 사실상 유일하지 싶다.
1932년 러시아 ‘제3의 수도’ 카잔 출생인 악쇼노프는 28세에 첫 작품인 중편소설 ‘동기생’을 시작으로, 장편 ‘별나라로 가는 차표’(1961), 단편 ‘달로 가는 도중에’(1962)를 잇달아 선보이며 주목받았다. 구 소련 체제 하에서 새로운 젊은 세대에 대한 대담한 표현으로 젊은층에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보수적인 러시아 문단과 정부에 시달리다가 1980년 미국으로 건너가 대표작이라 할 ‘강철새’(1977) ‘화상’(1980) 등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실험적인 작품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현대 러시아문학의 ‘서유럽파’로 불렸다.

■끝 모를 경외와 사모의 감정 ? 다니자키 준이치로 「슌킨 이야기 春琴抄」

“두 묘비는 낮은 석단 위에 나란히 자리잡고 있었는데, 슌킨의 묘 오른쪽에 소나무 한그루가 푸른 가지를 마치 지붕처럼 묘비 위로 드리웠고, 그 가지 끝이 닿지 않는 왼쪽으로 두세 자쯤(약 60~90센티미터) 떨어진 곳에 사스케의 묘가 황송해하며 모시듯이 대기하고 있었다. 그 광경을 보고 있자니 생전에 사스케가 충실하게 스승을 섬기고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면서 수행했던 때를 떠올리게 하며 자못 묘비 속에 혼령으로 남아 오늘날도 여전히 그 행복을 즐기고 있는 것만 같았다.” (p84)

이야기는 작가가 주인공인 ‘모즈야 슌킨전’을 읽고 그에 대한 감상과 평가를 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어릴 적 주인집과 거래처 견습공 관계로 시작해, 옛악기 고토 스승과 제자, 그리고 사실상 부부관계로 이어지는 두사람인 만큼, 사스케가 평생 슌킨에게 품었던 경외와 사모의 감정으로 써진 책에서 중심을 잡아가는 식이다.

“또 다음과 같이 이르고 있다. “슌킨은 어릴 때부터 매우 영리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그 우아함을 견줄 자가 없었다. 네 살 때부터 춤을 배웠는데, 춤사위를 스스로 터득하여 손을 뻗거나 당기는 자태의 우아함과 요염함은 무희조차 당해내지 못할 정도였다. 그 스승도 혀를 내두르며 ‘아, 이 아이가 이렇게 뛰어난 자질을 타고났으니 온 천하에 명성을 떨치리라 기대하지만, 양갓집 규수로 태어난 것을 행운이라 할지 불행이라 할지……’ 하고 중얼거렸다고 한다. 또한 일찍부터 글을 익혔는데 그 속도가 대단히 빨라서 두 오빠를 능가했다.” 이 기록들이 슌킨을 마치 신처럼 여겼던 사스케로부터 나왔다고 하니 어느 정도나 믿어야 할지 알 수 없지만, 그녀의 타고난 용모가 단아하고 우아했음은 여러 사실에서 확인되었다.” (p85)

슌킨은 부유한 약재상 집안 아가씨, 사스케는 거래처에서 온 가게 수습생이다. 덧붙이자면 슌킨은 아홉 살에 시력을 잃었지만 고토와 샤미센에 천부적 재능을 가진 아름다운 여인. 부유한 집안 형편과 음악적 재능, 미모가 ‘선물’이었다면, 실명은 그녀의 삶을 뒤틀어버린 재앙이었을 테다. 반면 사스케는 형편이 넉넉치 않은 상인 집안에서 거래처에 위탁된 견습생, 당시 가게를 물려받는 장남 외엔 일정 시기 독립해야 하는 에도시대 관습으로는 사실상 ‘머슴살이’ 신세다. 결과적으로는 고토 명인으로 성장하지만, 이는 슌킨과 짝지어주려는 주인집의 도움이 컸다. 다시 말해 시작은 그저 건강한 몸, 멀쩡한 눈, 순종적인 성품 정도가 장점의 전부였을 테다.

“슌킨보다 네 살 많은 사스케는 열세 살 때 처음 이 집에서 일을 시작했는데 그때가 바로 슌킨이 아홉 살 된 해로, 슌킨의 아름다운 눈은 영원히 닫힌 뒤였다. 사스케는 말년에 이르기까지 슌킨의 눈빛을 한 번도 보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지 않았고, 오히려 다행으로 여겼다고 한다. 만일 슌킨의 실명 전 얼굴을 보았더라면 실명한 그녀의 얼굴이 불완전하다고 느껴졌을 테지만, 다행히 그는 그녀의 용모에서 무엇 하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았다. 처음부터 완벽한 얼굴로 보였다.” (p94)
“훗날 사스케는 슌킨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동정이나 연민으로 비치는 것을 극도로 싫어해서 그렇게 보는 사람이 있으면 천만의 이야기라고 부인했다. “나는 단 한 번도 스승님의 얼굴을 보고 가엽다거나 불쌍하다고 생각한 적이 없었네. 스승님에 비한다면 도리어 눈이 보이는 쪽이 더 비참하지. 스승님께서 저 기상과 용모로 무엇이 아쉬워 남의 동정을 구하시겠는가? 오히려 ‘사스케가 가여워’라고 하시며 나를 불쌍히 여겨주셨어. 나나 너희는 눈코가 있을 뿐, 다른 것은 무엇 하나 스승님께 미치지 못한다. 우리들이야말로 장애가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p96)

두 사람이 가까워지는 것은 고토를 배우러 다니는 슌킨을 사스케가 수행하면서다. 시력을 잃어 불편했지만 동정심 같은 건 자존심이 허락치 않았던 슌킨을 한결같이 동경해온 사스케의 진심이 느껴졌을 수 있다. 이후 사스케가 몰래 고토를 배우다 들키자 슌킨이 본격적으로 가르치기를 자청하며 둘 사이는 더 가까워졌다.

“『슌킨전』에는 그 순간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바로 그때 슌킨은 사스케의 뜻을 갸륵하게 여겨, ‘너의 열정이 기특하니 앞으로는 내가 가르쳐주마. 틈이 나면 언제고 나를 스승으로 의지하여 연습에 힘쓰도록 하라’고 말했고, 슌킨의 아버지 야스자에몬도 마침내 이를 허락했다. 사스케는 하늘로 날아오를 듯한 마음으로 수습 업무를 보는 한편, 매일 일정한 시간을 내어 슌킨에게 가르침을 받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열한 살 소녀와 열다섯 살 소년은 주종 관계에 이어 이제 또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되었으니, 이 어찌 기쁘지 아니하랴.”” (p107)
“저녁식사를 마친 후에는 가끔 마음 내킬 때마다 사스케를 2층 마루로 불러 가르쳤는데, 그것이 마침내는 하루도 거르지 않게 되었다. 아홉 시, 열 시가 되어도 여전히 사스케를 놓아주지 않고 “사스케! 내가 그렇게 가르쳤어?” “안 돼, 안 돼! 제대로 켤 때까지 밤을 새우더라도 해”라며 엄격하게 질타하는 목소리가 들려 아래층의 점원들을 놀라게 했다. 때로는 어린 여스승이 “바보야, 왜 못 외우는 거야?”라고 큰 소리로 혼을 내며 머리를 때리면 그 제자가 훌쩍거리며 우는 일도 드물지는 않았다.” (p110)

모두가 의도하지 않았지만 슌킨의 가르침은 혹독했다. 사실 당시 예인들의 세계에서 사제지간의 혹독한 훈육과 체벌은 흔한 일이었다. 사스케는 이를 당연한 듯 받아들였지만, 훗날 슌킨의 다소 잔혹할 만큼 엄격한 교습방식은 스스로에게 큰 화를 부르게 된다.

“게다가 다마지로를 때린 다마조도 일찍이 자신의 스승 긴시金四에게 주로베에 인형으로 머리를 두들겨 맞은 적이 있다. 이때 부서진 인형이 그의 피로 빨갛게 물들었다고 한다. 그는 피범벅이 된 채 부러져나간 인형 다리를 스승에게 간청해 얻어다가 풀솜으로 싼 후 맨 나무 상자에 넣어두고 때때로 꺼내서는 어머니의 영전에 큰절하듯 예를 올리곤 했다. “이 인형으로 혼쭐이 나지 않았더라면 나는 평생 지극히 평범한 예인藝人로 끝났을지도 모른다”라고 이따금 울면서 사람들에게 말하곤 했다.” (p112~113)

“어떤 사람은 “남자 스승이 제자를 엄하게 꾸짖는 예는 많지만, 슌킨처럼 여자가 남자 제자를 때리거나 야단치는 경우는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오. 어찌 보면 슌킨이 어느 정도 가학적 기질이 있었던 것은 아닐지, 교습을 빙자하여 일종의 변태스러운 성욕적 쾌락을 즐겼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p113)

슌킨은 사스케와의 남녀 관계를 자존심 상해하며 한 번도 인정하지 않았지만 둘 사이 아이가 생기며 공공연한 사실이 된다.

““그런 이야기는 듣기도 싫어요. 작년에도 말씀드렸듯이 사스케 따위와는 생각조차 해본 적 없어요. 저를 딱하게 생각해주시는 것은 송구하지만, 제가 아무리 불편한 몸이라고 해도 아랫것을 남편으로 맞을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 배 속의 아이 아버지에게도 미안한 일이에요.”” (p122~123)
“어째서 슌킨은 사스케를 그런 식으로 대했을까. 오사카는 오늘날에도 혼례를 치를 때 자산이나 격식을 운운하는 것이 도쿄 이상인 곳이다. 더구나 예로부터 상인들의 식견이 높았던 지역이니 그 봉건적 풍습은 가히 상상 이상이리라. 따라서 오랜 전통이 있는 집안의 여식으로서 긍지를 버리지 않은 슌킨 같은 여인이 대대로 고용살이한 집안 출신인 사스케를 낮추어 보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또 맹인의 비뚤어진 마음도 있어 다른 사람에게 약하게 보이지 않고 무시당하지 않겠다는 투지마저 불타올랐을 것이리라. 그러니 사스케를 남편으로 맞이하는 것은 완전히 자신을 모욕하는 거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이런 사정을 살펴보았을 때 아랫사람과 육체적인 연을 맺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여 그 반동으로 더욱 쌀쌀맞게 대했을 것이리라.” (p125)

앞서 슌킨의 괴팍함과 사치스러움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그녀는 모든 것을 사스케에게 의지했다. 그 결벽증과 사치스러움은 대단했다. 특히 휘파람새와 종달새를 키우는 게 특히 그랬다. 당시 1만엔이 넘는 휘파람새였으니 익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제자가 월사금과 선물에 소홀하면 가차없이 그만두게 했고, 하인들의 먹는 것까지도 간섭할 지경으로 인색했다.

“『슌킨전』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데루의 이야기에 의하면, 슌킨은 볼일을 보고 나서도 손을 씻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볼일을 볼 때도 하나부터 열까지 사스케가 다 해주었기에 자신의 손을 전혀 쓰지 않았다. 고귀한 부인은 목욕할 때도 아무렇지 않게 남에게 몸을 맡기면서도 수치심이라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데, 슌킨도 사스케에게는 그런 고귀한 부인과 다를 바 없었다.” (p127)
“그래서 화장에 보통 몰두하는 것이 아니었다. 항상 휘파람새를 기르면서 그 배설물을 쌀겨와 섞어 사용했고 또 수세미에서 짜낸 물을 아껴두고 바르며 얼굴과 손발에 윤기가 흐르지 않으면 언짢아했는데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무엇보다도 싫어했기 때문이다.” (p128~129)
“슌킨의 집에는 주인 한 사람에 고용인이 대여섯이나 되어 다달이 들어가는 생활비도 적지 않은 금액이었다. 왜 그렇게 돈과 일손이 필요했느냐 하면, 첫 번째 원인은 작은 새를 기르는 취미에 있었다. 특히 그녀는 휘파람새를 사랑했다.” (p132)

앞서 얘기했듯 슌킨의 가학적이기까지 한 교습방식은 결국 그녀의 나이 37세에 자신을 망치는 화를 불렀다. 어느 밤 잠입한 괴한이 뜨거운 물을 한 주전자를 슌킨의 얼굴에 끼얹고 도망갔고, 때문에 화상으로 짓무른 피부가 가라앉기까지 두 달 이상 걸릴 정도로 큰 상처를 입는다.

“사스케는 하녀들의 방에 들어가 그녀들이 쓰는 경대와 바늘을 조용히 자신의 방으로 가져왔다. 그러고는 이부자리 위에 정좌한 채 거울을 보며 자기 눈의 중앙을 바늘로 찔렀다.” (p162)
“사스케는 손으로 더듬거리며 안방으로 가서는 “스승님! 저도 맹인이 되었습니다. 이제 평생 스승님의 얼굴을 볼 수가 없습니다” 하고 그녀 앞에 머리를 조아리며 말했다. “사스케, 그게 정말이냐?” 하고 묻고서 슌킨은 긴 시간 동안 말없이 생각에 잠겼다. 사스케는 이 세상에 태어나서 평생 동안 이 침묵의 몇 분간만큼 즐거운 시간을 살아본 적이 없었다.” (p163)
““잘 결심해주었구나. 기쁘게 생각한다. 내가 누구의 원한을 사서 이런 험한 꼴을 당했는지 알 수 없지만, 진심을 털어놓자면 지금 이런 모습을 다른 사람에게는 보여줄지라도 너에게만큼은 보이고 싶지 않았다. 그런 마음을 잘 알아차려주었구나.” “아, 정말 감사합니다. 그 말씀을 들으니 이 기쁨은 두 눈을 잃은 정도로는 바꿀 수가 없습니다. 스승님과 저를 비탄에 빠뜨리고 불행을 맛보게 한 놈이 어디 사는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스승님의 얼굴을 망가뜨려 저를 힘들게 하려고 한 짓이라면 그 모습을 제가 안 보면 그만입니다. 저만 눈이 멀면 스승님의 그 사고는 없었던 일과 다름없어서 모처럼의 간계가 수포가 되어 필시 그놈의 예상대로 되지는 않았을 겁니다. 저는 지금 불행하기는커녕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합니다. 비겁한 놈의 허를 찌르고 깜짝 놀라게 해주었다고 생각하니 가슴이 후련해지는 것 같습니다.” “사스케! 이제 더 이상 아무 말도 하지 마라.” 맹인 사제는 서로 끌어안고 울었다.” (p166)

나란히 장님이 된 사제지만, 여전히 사스케는 심지어 슌킨의 목욕까지 모든 시중을 들었다. 오히려 그것이 그에게 사스케에는 더 큰 기쁨이 되었다. 심지어 이제는 고집을 꺾은 슌킨과 달리, 사스케는 굳이 결혼을 거부할 정도로 슌킨에 대한 다른 관념에 빠져들었다.

“맹인의 몸을 맹인이 씻겨줄 때는 어떤 식으로 하는 것일까. 일찍이 슌킨이 손가락 끝으로 오래된 매화나무 가지를 쓰다듬은 것처럼 했을 터이지만, 손이 많이 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었다. 만사가 그런 식이라 대단히 까다로워서 보고 있을 수가 없을 지경이었다. ‘용케도 잘해나가고 있구나’ 싶었지만, 당사자들은 이런 성가심을 즐기는 듯 말 한마디 없는 가운데 깊은 애정을 나누고 있었다. 짐작건대, 시력을 잃어버린 사랑하는 남녀가 촉감의 세계를 즐기는 정도는 우리의 상상을 불허하는 면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스케가 헌신적으로 슌킨을 모시고 슌킨 또한 흔쾌히 그 봉사를 요구하니 서로 싫증 낼 줄 몰랐던 것도 이상하게 여길 일은 아니다.” (p168~169)
“스승의 일을 물려받아 부족한 실력으로나마 한 집안의 생계를 꾸려나간 사스케는 왜 정식으로 그녀와 결혼하지 않았을까. 슌킨의 자존심이 이때까지도 결혼을 거부한 것일까. 데루가 사스케 본인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로는, 슌킨 쪽은 꽤 고집을 꺾었지만 사스케는 그런 그녀 보기를 서글퍼했다고 한다. 슌킨을 가련하고 불쌍한 여인으로 생각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맹인인 사스케는 현실의 눈을 감아버리고 영원히 변하지 않는 관념의 경지로 비약했던 게 틀림없다. 그의 시야에는 과거 기억의 세계만 존재했다. 만일 슌킨이 사고로 성격이 변해버렸다면 그 사람은 이미 슌킨이 아니었다. 사스케는 어디까지나 과거의 교만한 슌킨만을 생각했다. 그렇지 않으면 지금 그가 바라보고 있는 미모의 슌킨은 파괴되어버린다. 그렇다면 결혼을 원하지 않았던 이유는 슌킨보다 사스케 쪽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p170)

사스케는 오히려 맹인이 되고 나서 새로운 경지에 나아갈 수 있었음을 강변한다. 스승 슌킨과의 관계에서도, 샤미센 소리에서도.

““누구든지 눈이 멀면 불행할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나는 맹인이 되고 나서 그런 감정을 느껴본 적이 없구나. 오히려 반대로 이 세상이 극락정토極樂淨土라도 된 것 같은 생각이 들었어. 스승님과 단둘이 살아가면서 연화대蓮花臺 위에 사는 기분이었다. 눈이 멀고 나니 눈을 뜨고 있었을 때 보이지 않던 여러 가지가 보였기 때문이야. 스승님의 얼굴도 그 아름다움을 마음속 깊이 보게 된 것은 맹인이 되고 나서였어. 그 밖에 손발의 부드러움, 피부의 윤기, 목소리의 아름다움도 진정으로 잘 알게 되었단다. 눈이 밝았을 때는 어째서 이렇게까지 느끼지 못했을까 신기할 정도였다. 특히 나는 스승님이 켜는 샤미센의 형용할 수 없는 아름다운 소리를 실명한 후에 비로소 음미할 수 있었어. 언제나 스승님은 이 방면의 천재라고 입으로는 말하고 있었지만 그제야 간신히 그 진가를 알게 되었구나. 미숙한 내 기량과는 너무나도 큰 격차가 있음에 새삼 놀라 ‘이제까지 이것을 깨닫지 못했다니 이 얼마나 황송한 일인가’하고 내 어리석음을 반성하게 되었지. 그래서 나는 신령님이 다시 앞을 보게 해주신다고 말씀하셔도 거절했을 것이야. 스승님도 나도 맹인이 되어서야 눈 뜬 자가 모르는 행복을 맛보게 되었단다.”” (p172)

병으로 슌킨이 세상을 뜨고, 다시 사스케는 20여년 이후 슌킨 기일에 세상을 뜬다. 사스케는 아들도 처첩도 없이 여생을 보냈고, 슌킨이라는 관념을 지켜냈다. 과연 두 사람의 일이 사랑이라 할 수 있을지, 두 사람의 감정과 고집이 어떤 것이었는지는 별개의 얘기다.

“덴코는 이 곡을 듣고 태어난 고향 계곡을 상상하며 넓디넓은 천지의 햇살을 그리워했겠지만, 정작 〈춘앵전〉을 타는 사스케의 넋은 어디로 달려갔을까? 촉각의 세계를 매개로 관념의 슌킨을 바라보는 데 익숙해진 그는 청각으로 그 부족함을 채웠던 것일까. 사람은 기억을 잃지 않는 한 꿈속에서 죽은 사람을 볼 수 있지만 살아 있는 상대를 꿈에서만 보았던 사스케는 언제 죽음으로 이별하였다고 확실하게 그 시기를 말할 수 없을지 모르겠다.” (p175)
“추측건대, 이십일 년이나 고독하게 살아가는 동안 사스케는 생존할 때의 슌킨과는 완전히 다른 슌킨을 만들어냈고 더욱더 선명하게 그 모습을 보았을 것이다. 교토의 사찰 덴류지天?時의 가잔오쇼?山和?(교토 출생의 승려로 덴류지 관장-옮긴이) 스님이 사스케가 스스로 눈을 찌른 이야기를 듣고는 눈 깜짝할 사이에 세상사를 판가름하고 추한 것을 아름다운 것으로 바꾸는 선기?機(선의 수행으로 얻는 힘의 발현-옮긴이)를 칭찬하며 달인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평했다고 한다. 독자께서는 수긍하실 수 있겠는가.” (p176)

종이책 회원 리뷰 (18건)

구매 예전 기준으로 선정한 작품들...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YES마니아 : 플래티넘 2***c | 2023.05.19

 96년 처음 출간된 『이문열의 세계명작산책』은 각각의 소주제에 따라 일곱 권으로 구성된

단편집이다. 출간 후 단편문학에 대한 독자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받아 온 이 시리즈가

출간 후 24년이 지난 20년 새로운 판형과 현대적인 번역으로 다시 독자를 만나게 되었다.

그간 변화해온 시대와 달라진 독서 지형을 반영해, 기존에 수록된 백여 편의 중단편 중

열두 편을 다른 작가 혹은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으로 교체하고, 일본어 중역이 포함된

낡은 번역도 새로운 세대의 번역자들의 원전 번역으로 바꾸어 보다 현대적인 책으로

작은 변화를 일으킨 것이다.

 

 제1권 "사랑의 여러 빛깔"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이자 특징인 사랑의 본질 혹은

속성을 다룬 작품들을 모았다. 수록된 11편의 중단편은 문학을 통해 드러나는 사랑의

여러 모습을 펼쳐 보인다. 작가가 처음 책을 낼 때부터 꼭 넣고 싶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넣지 못했던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슌킨 이야기'와 오 헨리의 '잊힌 결혼식'을 새로이

번역해 실었다.

 

 확실히 유명한 작가의 작품들이 눈에 많이 띄긴 하지만 국내 독자들에겐 생소한 작가의 

작품들도 많이 포함되었다. 특히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슌킨 이야기'는 지금의 독자들이 

읽더라도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작품이었다. 거꾸로 애기하면 대부분의 작품들은 1970~

80년대의 정서가 많이 느껴진다. 잘 안 읽힌다는 뜻인데 수려한 빨간 가죽 책표지가 

이 작품집의 최대 장점이라 하다못해 소장용으로 모아 볼 생각이다...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이문열 세계명작산책1 - 바실리 악쇼노프 외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l*v | 2021.01.18

 문학에는 종류도 많지만 내용도 각양각색이다. 그렇기에 소설이나 문학에 대해서 많이 알고자 하는 것이기도 하다. 문학 자체가 창작 요소가 필히 들어가는 부분이 상당하기 때문에 그 창작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 또한 문학의 매력이 아닐까 한다. 문학을 접하게 되면 작가도 많지만 그 중 누구나 알법한 이문열 작가의 책을 만나게 되었다. 문학 중에서도 세계명작을 접할 수 있다는 것과 문학의 또 다른 재미를 안겨 줄 수 있는 책이 아닐까 한다. 이 책에서는 이문열 작가의 젊은 시절 마음에 담아 둔 작품으로 선별하여 묶은 것이고 목록을 보니 접해보지 못한 작품도 있었기에 어쩌면 문학의 교양을 조금이나마 쌓을 수 있게 도움을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이문열 세계명작산책」은 총 열 권의 시리즈로 나온 책이지만 그 중 1권인 ‘사랑의 여러 빛깔’에서는 사랑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묶여져 있었다. 현대소설을 접함에 있어 사랑에 대해서 묶어져 있는 이 책에서는 여러 모습의 사랑을 보여주고 있었다. 물론 소설이지만 사랑이라는 주제로 여러 입장을 접할 수 있는 부분이었고 오래 전 접했던 알퐁스 도데의 <별>, 윌리엄 포크너의 <에밀리를 위한 장미>를 제외한 나머지 작품은 접해보지 못했기에 문학의 또 다른 재미와 이야기를 접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잎새>로 알고 있던 ‘오 헨리’의 다른 작품을 접할 수 있었고 사랑에 대한 특별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하고 느끼게 해주었다. 사랑의 모습은 다를지 모르지만 그것을 느끼는 것은 똑같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그 표현은 다를지 모를지언정 순박한 사랑에 이어 사랑의 끝을 보여주는 이야기까지 제각각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 사랑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접하는 소설을 통해서 주제별로 접할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고맙게 느껴졌다.
 

 현대적인 번역으로 다시 만나게 된 세계명작산책을 통해서 조금 더 문학에 가까워졌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도 많은 작가와 작품들이 있고 그런 작품을 읽고 접하면서 다양함을 느껴보는 것도 좋지만 너무 많기에 어쩌면 이 책이 문학의 교양을 쌓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과거 돌이켜보면 세계문학전집도 접했지만 정작 기억에 남는 것은 얼마 되지 않았고 단편집 역시 그러했기에 오히려 주제별로 정리되어 있는 소설을 접하는 것이 기억에 오래 남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 새롭게 개정판으로 접할 수 있어서 현대적인 해석으로 만나게 된 작품들을 읽으면서 세계명작이라는 타이틀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고 다양한 작품을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만족한다. 또한 저자 소개와 작품 목록을 통해서 작품을 찾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에 문학의 교양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안겨준 책이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1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접어보기
사랑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작품들!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g*****m | 2020.11.24

 

나는 이문열의 작품을 대부분 좋아한다. 작가 이문열이 뽑은 세계명작산책 시리즈 열 편이 재출간되었다. 그의 사상은 약간은 현학적이고 때로는 고리타분하지만 그의 필력은 훌륭하다고 생각하기에 대부분 믿고 읽는 편이다. 그 중에서 내가 읽은 편은 첫 번째 시리즈인 <사랑의 빛깔>이다.

이문열이 예비 소설가들에게 전범이 되리라는 기대 하나로 엮은 <사랑의 빛깔> 소개해 본다. 표지부터 사랑의 느낌이 물씬 풍기는 붉은 색이다. 바실리 악쇼노프, 다나자키 준이치로, 프랑수아 샤토브리앙, 테오도르 수토름, 안톤 체호프, 윌리엄 포크너, 토머스 하디, 알퐁스 도데, 아르투어 슈니츨러, 스탕달, 오 헨리 등 세계적인 대문호 11명의 사랑에 관한 단편집이다. 이문열 세계명작산책의 첫 번째 작품집이기도 하다.

이 책은 작가 이문열이 선정한 작품과 작가에 대한 짤막한 소개 그리고 작품 해설이 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11개 작품 가운데 좋았던 건, 안톤 체홉의 <사랑스런 여인>, 토마스 하디 <환상을 좇는 여인>, 오 헨리의 <잊혀진 결혼식>이다. 물론 다른 작품이 나쁘다는 건 아니다. 그저 이 두 작품이 내 감정의 결과 가장 잘 어울렸던 것 같다. 그 중에서 토마스 하디 <환상을 좇는 여인>을 짧게 소개하며 나머지 단편들도 읽어 보시길 추천 드린다.

<환상을 좇는 여인>의 주인공은 내면에 엄청난 열정을 지닌 여자 '엘라'이다. 그녀에게 남편은 남편으로서의 역할은 충실하나 물질적이고 대화가 잘 통화지 않는 사람이다. 엘라는 시를 사랑했다. 그런 남편에게 만족하지 못했던 엘라는 한 번도 보지 못한 시인 '트리위'를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그녀가 사랑한 건 '트리위'가 아니라 자신의 욕망이었다. 실체도 없는 환상에 불과한 허영심과 사랑에 빠진 '엘라'는 결국 자살을 선택한다. 그녀가 죽자 남겨진 남편의 삶은 지옥이다. 둘 사이의 아이조차 불륜의 결과라고 의심하게 된 남편은 무슨 죄인가.

수록된 단편들은 사랑의 여러 빛깔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나에게 사랑은 꼭 좋기만 하지 않았다. 아프기도 했고 많이 힘들었다. 그런 사랑의 여러 단면들을 잘 보여주는 11개의 작품 속 주인공들의 여러 감정을 따라가는 경험이 좋았다. 바쁘게 살다 보니 잊고 살았던 감정이었다.

다음편인 <죽음의 미학> 마지막 편인 <그래도 사랑할 만한 인간>도 읽고 싶다. <사랑의 빛깔>에 수록된 작품만 봐도 균형있고 주제에 충실한 작품들을 선정했으리라는 믿음이 생겼기 때문이다.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사랑의여러빛깔 #이문열 #무블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접어보기
  •  종이책 상품상세 페이지에서 더 많은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한줄평 (1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