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노 저
임솔아 저
애나 렘키 저/김두완 역
로랑스 드빌레르 저/이주영 역
천선란 저
한화택 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누워만 있고 싶다.
괜찮다가도 때때로 이유 없는 슬픔에 잠긴다
이 세상에 내 편은 없는 것 같다.
....혹시 내가 우울증일까?
코로나로 일상 생활도 맘편히 하기 힘든 요즘 울적한 기분은 물론 아무 것도 하기 싫은 무기력 함에 답답한 시간을 보내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고요.
우리 나라 사람 대부분이 가지고 있다는 우울증. 스스로가 우울증인지 인지 못하기도 하고
진짜 우울증이라 하면 선뜻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기까지가 쉽지 않더라고요.
우울이 찾아왔을 때 나는 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다양한 증상부터 원인, 해결까지 우울에서 벗어나기 위한 최소한의 마음 치유 지식을 알려주는 감사한 책이 있어 만나 보았어요.
이 책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3명의 정신과 전문의가 실제 환자들을 만나보면서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마음 진료를 통해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정신과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고 마음이 아픈 분들께 치료를 받울 수 있는 도움을 드리고자 편낸 책이에요.
왜 우리는 우울증에 걸릴까요?
어느 수준이어야 우울증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우울증 치료가 필요한 상태는 어떠하고,
비슷한 증상을 가진 사람은 어떤 일상을 보내고 있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우울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는지,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이 책에서 우울증의 모든 걸 쉽고 자세하게 알려주고 있어요.
우울증도 제대로 알고 있어야 극복 할 수 있어요.
위에 표는 우울증 선별 도구로 일상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들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된 우울증 척도 검사지에요.
질문지가 간단해 보이지만 우울증을 진단하는 주요한 진단 기준들이 빠짐없이 녹아 있어 실제 진료실과 논문 등에서 우울증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 경과를 확인하는 데 두루 쓰이는 대표적인 검사 도구라고 해요.
내가 우울증을 앓고 있는지, 어느 수준으로 심한지를 확인해 볼 수 있을꺼 같아요.
하지만 단독으로 우울증 진단은 할 수 없다고 하니 증상이 의심되면 의사에게 꼭 진료를 받아보시걸 추천해요.
우울한 환자들에게 무언가 도움이 되고 싶다면 말을 하기보다는 옆에서 환자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우울한 상황에 빠진 사람을 보면서 안타까운 마음, 때로는 답답한 마음에 조언을 건네고 싶겠지만 하고 싶은 말을 참고 될 수 있으면 이야기를 많이 들어주고 힘든 감정에 공감해 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환자가 좋아지려면 옆에서 무언가를 해주려고 억지로 노력하기 보다는 같이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환자한테는 큰 위로가 됩니다. 만약 우울증에 빠진 사람이 혼자 있고 싶어 한다면 억지로 함께 있으려고 하기보다는 힘들 때는 언제든 연락하라고 해준다거나 함께 있고 싶으면 가겠다고 말해 보세요. 이런 행동들을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라고 하는데, 우울증 환자들의 치료와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p.159~160 「3장. 우울에 무너지지 않기 위해」 중에서
이 책은 누구에게도 고민을 털어놓지 못하고 힘들때 언제 어디서나 꺼내 읽어보고 도움이 될기를 바라는 마음이 잘 전달되더라고요.
우울증은 우리가 생각지도 못하는 일상속에 자리하고 있더라고요 혹시 마음이 힘든 분이 있으시다면 읽어보시고 힘이 되셨음 좋겠어요.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