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빅 히스토리

우주와 지구, 인간을 하나로 잇는 새로운 역사

데이비드 크리스천,신시아 브라운,크레이그 벤저민 저/이한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2년 12월 27일 리뷰 총점 9.8 (71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24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40건)
  •  eBook 한줄평 (7건)
분야
인문 > 인문학산책
파일정보
EPUB(DRM) 78.69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이 상품의 태그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4명)

저 : 데이비드 크리스천 (David Christian)
작가 한마디 이제 한 민족이나 국가에 충성해야 한다는 역사로는 충분치 않은 시대다. 핵무기의 개발 등으로 이제는 24시간 이내에 인류가 멸망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운명을 공유하는 인류 공통의 역사가 있다는 데에 동의하는 게 중요해졌다. 거대사는 종족과 민족, 국가의 정체성을 공격하자는 게 아니라 그런 정체성을 포괄하는 우주적인 정체성까지 인식하자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빅뱅에서부터 현재까지 138억 년에 이르는 우주의 역사를 지리학, 생물학, 우주론, 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통합해 연구하는 ‘빅 히스토리’ 분야의 창시자.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러시아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호주 매쿼리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9년부터 빅 히스토리 강의를 시작했으며, 2004년 출간한 『시간의 지도』로 세계사협회가 수여하는 최고도서상을 수상했다. 이후 대표작인 『빅 히스토리』와 『오리진 스토리』로 세계적인 석학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매쿼리대학교와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국제빅히스토리협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미... 빅뱅에서부터 현재까지 138억 년에 이르는 우주의 역사를 지리학, 생물학, 우주론, 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통합해 연구하는 ‘빅 히스토리’ 분야의 창시자.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러시아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호주 매쿼리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9년부터 빅 히스토리 강의를 시작했으며, 2004년 출간한 『시간의 지도』로 세계사협회가 수여하는 최고도서상을 수상했다. 이후 대표작인 『빅 히스토리』와 『오리진 스토리』로 세계적인 석학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매쿼리대학교와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국제빅히스토리협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미국 버몬트대학교 초빙교수 외에 2009년부터 5년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석좌교수로 강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2011년 빌 게이츠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중고등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 개발을 주도했으며, 그의 TED 강연 ‘18분으로 배우는 세계사’(The history of our world in 18 minutes)는 ‘TED에서 꼭 봐야 할 11가지 강의’로 선정되며 누적 조회수 2,300만 뷰를 기록했다. 빅 히스토리가 불러일으킨 지적 파장은 세계 전역으로 퍼져나가 미국, 호주, 한국, 중국, 네덜란드, 스코틀랜드 등 전 세계 약 150개 학교에서 수업이 개설되었으며 TV 프로그램이 새롭게 만들어지기도 했다. 그는 세계경제포럼을 포함한 여러 국제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했으며 교육 플랫폼 코세라에서 진행한 온라인 강좌는 전 세계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저 : 신시아 브라운 (Cynthia Stokes Brown)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년간 세계사를 가르쳤다. 캘리포니아 도미니칸 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를 역임하면서 고등학교 교사 양성과정에 참여했으며, 지금은 모든 신입생이 필수로 듣는 빅 히스토리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빅뱅에서부터 시작해 우주의 발전과 지구의 탄생, 인류의 출현,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일어난 다양한 상호작용까지 포괄하는 빅 히스토리 분야를 연구했다. 빅 히스토리 개념의 창시자인 데이비드 크리스천과 함께 국제 빅 히스토리 협회(International Big History Association)를 설립했으며, 빅...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년간 세계사를 가르쳤다. 캘리포니아 도미니칸 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를 역임하면서 고등학교 교사 양성과정에 참여했으며, 지금은 모든 신입생이 필수로 듣는 빅 히스토리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빅뱅에서부터 시작해 우주의 발전과 지구의 탄생, 인류의 출현,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일어난 다양한 상호작용까지 포괄하는 빅 히스토리 분야를 연구했다. 빅 히스토리 개념의 창시자인 데이비드 크리스천과 함께 국제 빅 히스토리 협회(International Big History Association)를 설립했으며, 빅 히스토리의 대중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빅 히스토리: 빅뱅에서 현재까지(Big History: From the Big Bang to the Present)』 『빅 히스토리: 아무것도 없는 것과 모든 것 사이(Big History: Between Nothing and Everything)』(데이비드 크리스천, 크레이그 벤저민 공저) 등의 책을 썼으며, 『내부로부터의 준비: 셉티마 클락과 시민권 운동(Ready from Within: Septima Clark and the Civil Right Movement)』으로 미국 도서상(The American Book Award)을 수상했다. 2017년 췌장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저 : 크레이그 벤저민 (Craig Benjamin)
오스트레일리아 매쿼리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시건 그랜드밸리주립대학교 마이어아너스대학 역사학과 교수로, 빅 히스토리와 고대 세계사를 가르치고 있다. 전 세계 학술대회에서 강연하고 고대 중앙아시아사, 빅 히스토리, 세계사에 관해 많은 글을 썼다. 세계사학회 회장과 국제빅히스토리협회 집행 이사를 역임했으며,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매쿼리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시건 그랜드밸리주립대학교 마이어아너스대학 역사학과 교수로, 빅 히스토리와 고대 세계사를 가르치고 있다. 전 세계 학술대회에서 강연하고 고대 중앙아시아사, 빅 히스토리, 세계사에 관해 많은 글을 썼다. 세계사학회 회장과 국제빅히스토리협회 집행 이사를 역임했으며, 빅 히스토리 프로젝트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역 : 이한음
서울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한 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 전문 번역가이자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과학 지식과 인문적 사유를 바탕으로 리처드 도킨스, 케빈 켈리, 에드워드 윌슨, 리처드 포티, 제임스 왓슨 등 저명한 과학자의 대표작을 번역했다. 지은 책으로는 『바스커빌가의 개와 추리 좀 하는 친구들』, 『생명의 마법사 유전자』, 『청소년을 위한 지구 온난화 논쟁』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노화의 종말』, 『생명이란 무엇인가』, 『바디: 우리 몸 안내서』, 『빅 히스토리』, 『불멸의 유전자』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한 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 전문 번역가이자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과학 지식과 인문적 사유를 바탕으로 리처드 도킨스, 케빈 켈리, 에드워드 윌슨, 리처드 포티, 제임스 왓슨 등 저명한 과학자의 대표작을 번역했다. 지은 책으로는 『바스커빌가의 개와 추리 좀 하는 친구들』, 『생명의 마법사 유전자』, 『청소년을 위한 지구 온난화 논쟁』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노화의 종말』, 『생명이란 무엇인가』, 『바디: 우리 몸 안내서』, 『빅 히스토리』, 『불멸의 유전자』 등이 있다.

회원 리뷰 (24건)

한줄평 (47건)

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