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노 저
임솔아 저
애나 렘키 저/김두완 역
로랑스 드빌레르 저/이주영 역
천선란 저
백온유 저
[여행 특집] 반가웠어요, 3년 만의 방콕 - 신예희 작가
2022년 08월 09일
'첫사랑'이라는 단어가 주는 환상이 있다.
모든 문학 작품과 노래, 영화에서 읊어주는 사랑에 대해 듣다보면 어쩔 수 없지 싶다. 이건 거의 세뇌 수준이다.
처음 사랑에 빠지게 되면 귀에서 종소리가 들리고, 주변 소음이 다 사라지고 그 사람만 보이고, 심장이 죽을 것처럼 뛰고 얼굴에 열이 오르고... 뭐 그런 것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이 딱 그런 소설이다. 첫사랑, 그 환상에 대하여.
읽기 전부터도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은 상당한 유명세를 탄 소설이 원작인 영화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얼마나 재밌길래 그러나 싶은 호기심이 충분했다.
안타깝게도 취향은 아니었다. 이런 류의 스토리라인이 내 취향과 맞지 않는 듯하다.
비포 선라이즈 같이 많은 사람들의 인생 로맨스 영화도 다 못보고 백기를 들었다.
뭔가 여행지나 낯선 곳에서 만난 이상형과 사랑에 빠졌으나 현실적인 이유로 서로를 추억에 남기는 그런 류에 흥미를 못 느끼는 건가 싶다.(비포 선라이즈는 다 보지 못했으나 대강의 스토리라인이 이렇다고 들었다.)
영화가 나오기 전, 책 예전 제목은 '그 해 여름'이었다고 들었다.
지금의 제목도 좋지만 이 제목도 좋다.
추억의, 돌아오지 않을 그 계절을 그리는 느낌이다.
이탈리아의 여름은 사랑에 빠지기 충분한 계절이지, 절절하게 공감한다.
안드레 애치먼씨가 만드셨군요 최고입니다. 콜미바이 유어 네임을 영화보고 감명받아서 책으로도 봤어요. 책에서 느껴지는 것들이 영화로 잘 구현된 점이 좋았어요. 책을 다 보신분이라면 영화도 추천드려요. 역시 책 사길 잘했어요. 최고임요 ㅎ! 첫사랑의 감정을 잘 담은 것 같아서 몽글몽글하니 좋았어요. 영화든 책이든 다른 느낌이에요 둘다 보시길 바랍니다~
안드레 애치먼 저 / 정지현 역 콜미바이유어네임을 대여로 읽어보았습니다.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CALL ME BY YOUR NAME 원작 소설이라는데 아예모르는 영화라 그런건 별로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책의 맨 처음부터 "나중에!" , "나중에, 아마도" 이런 대사가 많이 나오는데 헤어지는 인사를 할때 나중에! 이러고 인사하는거나 어떤 질문에 나중에 아마도 이렇게 대답하는게 너무 어색하고 말이 안돼서 읽기가 힘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