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초엽 저
서은국 저
정혜윤 저
김희경 저
론 마라스코,브라이언 셔프 공저/김설인 역
강이슬 저
2023년 02월 07일
“인스타그램에는 절망이 없다”라는 제목, 얼마전에 종영한 행복배틀이라는 드라마가 떠올랐다. 그렇지. 순간이 담긴 사진 속에서는 늘 모두가 행복하지. 그걸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곳이 인스타그램이니까. 무슨 책일까?
인스타그램과 밀레니얼 세대의 이야기인가 싶었던 책은 요즘 청년세대가 가지는 가치관과 생각을 시작으로 전체 사회 속으로 우리를 끌고간다. 저자의 생각이 담긴 책은 요즘 대한민국의 담론을 조금씩 다 건드리고 있었다.
사실 지금 대한민국의 다수의 문제를 나는 구조적인 문제로 보는 편이다. 그래서 어디서부터 어떻게 손대야할지가 감히 상상조차 되지 않는.
저자는 그런 이슈들의 시작을 청년세대의 이해부터 시작한다. 저자는 지금의 청년세대를 “환각의 세대”라고 일컫는다. 자신의 꿈을 쫒아 살라는 말을 듣고 자랐으나, 현실은 그 꿈과의 괴리감은 너무나 컸다. 누군가는 인스타그램에서 너무나 행복한데, 나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좌절, 노력하면 올라갈 수 있을 것같은 사다리는 이미 없어진지 오래고, 그렇기에 스펙쌓기에 더 열을 올려야하고, 대학교의 낭만은 사치가 되어버린 세대. 꿈을 쫒았으나 현실은 불안만을 키운다. 그렇기에 그 불안을 해소하고자 더 많은 스펙을 쌓고, 결국 그 모든것은 그들에게 빚이되어 남는다. 그런 청년세대가 N포세대가 되어버린것은 자명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나타나는 사회적 이슈, 비혼, 저출산, 남녀갈등, 그리고 각종 혐오(아이, 엄마, 사회적 소수자를 향한 ) 논란 등등. 그럼 청년세대를 그런 극한까지 몰아간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기성세대 인가? 아니다. 그들도 그렇게 배웠고, 그렇게 살았을 뿐이니까.
개인적으로 영포티라는 말을 나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40대. 그 세대도 자식과 부모의 중간에 놓인 세대다.
사회생활의 시작이 양질의 직장에서 여야 함을 누구보다 잘 아는 세대이기에 자식 세대가 대학을 졸업하고도 쌓는 스펙에 경제적 지원을 해야하고, 기대수명의 증가로 부모님에 대한 책임 역시 지고 있다. 중간에서 그들이 무슨 영포티인가..싶어서… 청년세대가 인스타그램을 보며 타인의 행복을 갈망하는 것과 같이, 어쩌면 대한 민국 전체가 행복이라는 환각에 시달리고 있는지도 모르겟다.
저자가 말하고 있는 주제 하나하나가 허투루 넘길 수가 없다. 누군가 짠하고 나타나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님을 알고 있기에 그렇다.
그렇기에 저자는 서로가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그래서 그 시작을, 삶을 조금 더 살아보았던 기성세대가 청년세대를 이해하는 것부터라 말하고 있는것 같았다. (그래서 부제가 “밀레니얼 세대는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인것 같아서.) 사실 우리의 청년세대는 사회의 첫걸음부터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포기라는 단어에서 시작하는 것에는 우리 모두가 조금씩 책임을 져야하지 않을까.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참..어렵다. 하지만 읽어볼만한 책이다. 누군가에 대한 이해는 앞으로 나아가는 첫 걸음이 될테니.
Good!
“어떤 이미지로 전시된 자신에 대한 흡족함은 결코 지속 가능한 행복이나 기쁨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초콜릿이 주는 찰나의 단맛이나 도파민으로 인한 일시적 쾌감에 불과할 뿐, 우리가 실제로 살아가야 하는 삶의 온전한 영역일 수는 없다. 그럼에도 이 시대는 전방위적으로 우리에게 어떤 이미지들을 주입하고, 그 이미지를 좆으라고 하며, 그 이미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속삭인다. 결국 그 이미지 속에 살아야한다는 강박을 심어놓는다.” p.65
정지우 작가님의 인스타그램에는 절망이 없다를 읽고 쓰는 리뷰입니다. 제목을 보고 내용이 궁금해서 구매해본 소설입니다. 인스타그램이라기 보다는 현대 샤회의 모습에 대한 이야기를 쓴 책인 것 같습니다. 물론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심리와 그와 관련된 사회의 변화에 따른 사람들의 행동 변화도 나와서 더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SNS와 관련된 우리의 소비 사회 등 흥미로운 내용이 많아서 금방 읽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