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우란 저
김혜령 저
김은주 글/워리 라인스 그림
투에고 저
권미선 저
이토 에미 저/호소카와 텐텐 그림/김영현 역
나를 마주하는것은 생각보다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내가 어떤 상황에서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왜 불안해하는지, 왜 공격을 받았다고 느끼는지
등등....
나의 부정적인 면들, 나의 상처를 똑바로 바라봐야 하는데
원인을 알 수 없다면 그 상처의 치료조차 시도할 수 없을것이다.
저자는 애착수업을 통해, 많은 이들의 상처와 불안한 마음은
안정적이지 않은 비뚤어진 애착 형성에서 왔다고 짚어주고 있다.
나 또한 어머니와의 애착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중의
하나였다. 어릴적엔 태산처럼 커보이고 대단해보이던 엄마에게 많은
상처를 받고 두려움을 느끼고 애증이라는 감정을 겪으며 자라났다.
그것이 나의 인격과 성격에 지대한 영향을 주리라는건 그때 당시에는
잘 몰랐었다.
사춘기가 지나서 불면증과 무기력증, 불안감, 타인에 대한 적대감을 느끼며
그 수많은 부정적인 감정들을 물리치고 밝게 살아가려 노려해왔다.
나의 안좋은 감정과 사상들을 정화시켜 준 것은 저명한 학자와 작가들의
책이었다.
살면서 불안감에 잠못드는 사람, 타인에게 공격적인 사람, 나만 상처가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애착수업을 읽으며 위로를 받을 수 있을것이다.
내면의 치료는 자신의 마음을 똑바로 바라보는 일부터 시작된다고
믿는다. 그러면 머지않아 지금의 나보다 훨씬 안정되고 평화로운 나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서른을 코앞에 둔 시절이었던 것 같다.
분명 나를 부러워하는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나는 끝도없이 우울했다.
일요일이면 해가 떨어지지도 않았음에도 침대속으로 들어가 내일 회사갈 걱정을 하며 한숨만 쉬었다.
그때와 비교해 본다면 지금은......
회사일에 육아를 포함한 집안일까지 훨씬 강도 높은 일을 해나가고 있지만 그때처럼 우울하지 않다.
단적으로 월요병도 없어졌다.
그동안은 그저 단순히, 애 낳고 아줌마가 되가면서 현재 상황에 적응한 결과라고 생각했었다.
이 책을 만나기 전까지는 그랬었다......
이 책을 읽고 나서야 그 당시 내가 매우 불안한(애착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상태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당시 내가 만나던 사람이 일관되지 않은 불안한 환경을 나에게 제공했었던 것이다.
서른이 다 되가던 나이에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분명 의아하게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예전에 내가 겪은 일이었고, 그것은 결코 나이라는 숫자와는 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기에
뒤늦게라도 이유를 알게되어 정말 홀가분한 느낌이든다.
다시 생각해 보니 그동안 불안했었던 대부분의 시간들에는 '애착'이 자리잡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저절로 해결되었던 것이라 믿었던 대부분의 솔루션에도 '애착'이 떡하니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니 한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내가 앞으로 얼마나 일관되게 한 인격체를 지지해야 하는지
그 중요성을 명심 또 명심하게 되었다.
물론 과보호도 경계해야하는 건 상식!
솔직히 제목만 보고 나를 위해 이 책을 선택했는데 역시나 엄마인지라 육아서를 읽는 기분을 떨쳐버릴 수 없었다.
절대 나빴다는 소리가 아니다.
오히려 그동안의 육아서보다 더욱 전문적인 육아서를 손에 넣은것 같아 뿌듯하고 기뻤다.
현재 사랑하는 우리 아이가 많이 느린지라 나도 모르는사이 걱정하고 한 숨 쉬고 있을때가 많은데
이 책을 통해 조급해 하지 말고 한 걸음 한 걸음 천천히 해봐야겠다는 무언가(위안+의지)가 생겼다.
설리번의 교육처럼 ......
그리고 나를 위해 안전기지가 되어주는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들에게 깊이 감사하며
나 역시 누군가에게 꼭 안전기지가 되어주는 행복을 누리기를 한해를 마치며 기도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