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초엽 저
천선란 저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저/황가한 역
델리아 오언스 저/김선형 역
이미예 저
2021년 08월 23일
힘들 때 읽으면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는 친구의 선물로 이 책을 처음 알게 되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나를 가꾸는 셀프가드닝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누군가는 그저 그런 다 비슷비슷한 내용의 힐링에세이라고 느끼겠지만 나한테는 와닿는 부분이 많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맘에 들어온 두 가지 부분을 소개하자면
-감정을 감정하다 (189p)
행복 외에 저평가된 다른 감정도 중요하게 생각하지
....
지금 느끼고 있는, 피하고 싶은 이 감정들이 결국,
상장된 주식처럼 더 가치있게 드러날 수도,
성장의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는 법이다.
:감정을 있는 그대로 느끼라니 회피형 인간인 나에게는 어려운 일인 것 같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행복이 아닌 나에게 힘들게 느껴지는 감정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연습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팔로잉 말고 그로잉(270p)
내가 진짜 좋아하는 것 대신
'좋아요'가 많은 것을 좋아한다.
...
버스를 타고 어딘가를 향할 때조차
꼬리를 무는 사색과 엉뚱한 생각들로 다채로웠던 나의 일상이
새글보기,댓글달기, 좋아요 누르기로 단순해져버렸다.
: 요즘 들어서 인스타그램에 많은 시간을 쏟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었기에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내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너무 뜨끔했다. 예전에는 버스에서 종종 책을 읽기도 하고, 음악을 듣을면서 창 밖 풍경을 구경하기도 했었는데 요즘 들어서는 인스타만 들여다 보고 있는 것 같다. 당장 멀어지기는 힘들겠지만 천천히 시간을 들여서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찾을 수 있는 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목적 없이 책을 읽어본 적이 오랜만이었는데 이 책을 읽어서 더 좋았던 것 같다. 가볍게 읽기 좋지만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드는 것 같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은데 찾는 방법을 모르겠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파트가 끝날 때마다 내 생각을 적을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글만 읽고 끝나는 게 아니라 더 깊게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안녕하세요 :)
원하는대로 이루어지는 깡꿈월드입니다.
어느 날 바라본 식물이 나처럼 느껴졌습니다.
말라 가는 지도 모른 채 살아가다가 죽는 식물처럼
나도 저렇게 되진 않을까 걱정이 되었습니다.
유해한 것들 속에서 나를 가꾸는 셀프 가드닝 프로젝트
997. " 나라는 식물을 키워보기로 했다. " 입니다.
어느 순간 쉬는게 불편해지는 순간이 있었다.
가만히 있으면 불안해졌고,
무엇을 해도 마음은 편해지지 않았다.
늦잠을 자고 일어난 듯이 나는 계속 무언가에 쫓기고 있었다.
이쯤이면 어떤 결과물이 나와야해,
이 정도 노력했으면 어느 정도의 부를 가져야해.
정해지지 않은 답을 정답이라 여기며
나는 참 오랫동안 나를 괴롭혀왔다.
그런 나에게 이 책은 바꿀 수 없는 아쉬운 과거,
만족과 더 큰 불만족이 공존하는 현재,
알 수 없는 미래를 기준으로 삼지 말고
내가 정한 주제로 주체적인 인생을 살아가라고 말해주었다.
미래에 대한 불안에 사로잡히기보다
지금에 집중하다 보면 영혼은 더 자유로워지고
두려움보다 호기심과 성취감이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이다.
삶은 주어지지만 삶의 주어는 나이므로
내 모든 시간을 괜찮다고 말해주고 싶다.
지나온 시간도, 지나갈 시간도.
시간이 약이라고 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시간은 상처를 낫게 하고
힘든 감정을 옅어지게 해줄 것이다.
하지만 그때까지, 괜찮아질 때까지 계속 아파야 한다면,
괜찮아질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지금 괜찮아져 보자.
시간이 약이라면 지금이 바로 며칠 후, 몇 주 후,
혹은 몇 달 후라고 상상하며
미래의 시점에 지금의 내가 미리 가 있는 것이다.
인생은 짧고 소중하고 또 아름답기에
우리는 더욱 그렇기에
어차피 괜찮아질 거라는 이 말 또한 위안이 될테니,
미리 괜찮다고 생각해보자.
그럼 어느 순간 정말, 괜찮아져 있는 나를 발견할 것이다.
초침과 분침, 시침이 모두 같은 속도로 움직이려 한다면
시계는 맞는 시간을 가리킬 수 없을 것이다.
누구에게나 각자의 속도가 있다.
나의 속도가 남의 속도보다 빠르거나 늦는다고 해서
우쭐해하거나 조바심 낼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아직 어둠 속을 벗어나지 못한 채 헤매고 있더라도 괜찮다.
밤의 터널을 부지런히 걸어온 자에게 아침은 반드시 온다.
그러니 남의 속도에 연연해 하지 말고
나만의 속도로 ' 나라는 식물을 키워보자. '
믿고 읽는 작가! 김은주 작가님의 책을 즐겨 읽었어서 이번 책도 믿고 구매하여 읽어보았다.
책 제목부터가 너무 마음에 든다.
나라는 식물을 키워보기로 했다 : 유해한 것들 속에서 나를 가꾸는
우리는 누군가의 보호, 사랑 속에서 어렷을적부터 자라고오고, 성인이 되어서도 결혼하여 가족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사랑받고 살아야한다고, 사회, 문화적 관습으로 배워온 것 같다.
하지만 가족도 결국엔 물리적 거리나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타인’일뿐.
자기 자신을 가장 잘 알고, 지켜주고, 보호해주고, 사랑해줄 수 있는 존재는 0순위가 내 자신인 것이다.
작가의 센스있는 글 실력으로, 일상속으로 ‘셀프가드닝’ 할 수 있는 20가지 방법과 위로와 격려해주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
지금 찾아온 불행에 너무 좌절하거나, 지금 찾아온 행운에 너무 들뜰 필요 없다.
일희일비할 필요 없다.
악인 떄문에 괴로워하거나
실패로 좌절하고 있거나
슬픔과 불행의 순간에 힘들어하거나,
지금 내가 어떤 순간을 맞이하고 있든 가장 중요한 것은
오늘 지금의 나는
무엇을 바라보고,
무엇을 위해
무엇을 선택하며 살아가느냐 하는 것이다.
바로 그것이 하루나 몇 주일, 혹은 몇 달이 아닌 인생의 단위로 보았을 때,
당신의 삶을 당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해주는
가장 빛나는 길잡이별이 될 것이다.”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이 책과 함께 셀프가드닝을 통해 자신을 더 가꾸고 사랑하는 방법을 배워갈 수 있을 것 같다.
강력 추천한다.
어릴 때 작은 텃밭에서 방울토마토, 오이, 가지등을 심은 적이 있다. 적절한 햇빛을 받고 쑥쑥 자라라고 물도 주고 정성을 쏟았는 게 통했던 건지 큼지막한 열매로 보답이 되어 돌아왔던 기억이 있다. 도시에서 살아가고 있는 지금은 텃밭을 하기는 힘들어졌지만 책 제목에서 뭔가 어릴 때 식물을 키웠던 것처럼 나에게도 식물처럼 정성을 다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구매하게 이르렀다. 귀여운 일러스트 그림들과 그에 적절한 힘이 되는 글까지 읽고 있으면 너무 힐링이 되었다. 적절한 셀프가드닝을 통해 더 나은 모습의 내가 되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