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리 최 저
박신영 저
한성희 저
엘리슨 스톤 저/양창아 역
작가1 저
하미나 저
“정보가 세상을 바꿀 무기가 될 수 있다면, 이 책은 거대한 무기고다”
보이지 않는 차별과 폭력에 맞서는 페미니스트를 위한 최고의 무기 스마트폰과 자동차 설계부터 의료, 노동, 도시계획까지 남자가 표준인 세상에서 여자는 어떻게 투명 인간이 되는가 √ 영국왕립학회 과학서적상 수상 · [타임스] 선정 올해의 책 · 아마존 사회 분야 베스트셀러 √ [뉴욕 타임스], [가디언], [포브스]… 세계 언론이 주목한 ‘젠더 팩트 체크’ √ 권김현영, 김진아, 노명우, 박상현, 이다혜 등 국내 지식인들의 강력 추천 스마트폰을 자꾸 떨어뜨리는가? 사무실 냉방 온도가 낮아 감기를 달고 사는가? 마스크나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너무 헐겁거나 꽉 끼고, 처방받은 약이 어쩐지 효과를 보이지 않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여성일 가능성이 높다! 『보이지 않는 여자들』은 남성을 위해, 남성에 의해 설계된 이 세계가 어떻게 인구의 반, 여성을 배제하는지 증명한 책이다. 남자를 인간의 디폴트값으로 여기는 사고방식 때문에 여성과 관련된 지식과 정보는 제대로 수집되지 않는다. 그렇게 생겨난 데이터 공백은 여자들을 가난하게 만들고 아프게 만들고 때로는 죽이기까지 한다. 영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여성운동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기술과 노동, 의료, 도시계획, 경제, 정치, 재난 상황 등 16가지 영역에 걸쳐 여성에 관한 데이터 공백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차별의 단면을 면밀하게 보여준다. 그간 은폐되고 누락되었던 여성의 관점과 지식을 복원하는 것이 남녀 모두, 나아가 세상에 어떤 이득이 되는지 시사한다. 방대한 통계 자료와 풍성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한 이 책은 젠더를 둘러싼 끊임없는 논쟁과 잘못된 편견을 불식시키는 동시에, 보다 합리적이고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무기를 제공할 것이다. |
1. 모임 진행 중 표지 얘기가 나왔는데, 파란 '남성' 픽토그램 뒤에 가려진 '여성' 픽토그램 디자인이 인상적이었다. 붉은색 배경이라 마찬가지로 붉은색 픽토그램인 '여성' 픽토그램이 잘 보이지 않아서 모임원이 알려주기 전까진 몰랐다. 깨닫고 보니 참 영리한 디자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책의 내용이 지적하듯 현대사회는 여성이 남성의 배경으로만 남도록 구성되어 있단 점을 시각적으로 표현해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2. 데이터를 다루는 책을 읽을 때마다 묘하게 긴장하곤 하는데, 이 책은 술술 읽혀서 편히 볼 수 있었다. 정말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그만큼 풀어나가는 필력도 좋다. 저널리스트의 저력! 옮긴이의 힘!
3. 남성중심사회이기에 데이터가 남성 중심으로만 축적되어 왔단 점을 인지하고 있긴 했지만, 이렇게 모든 분야에 걸쳐 데이터 공백이 존재함을 인지하니 새삼 갈 길이 멀다고 느껴졌다. 무려 16장 400페이지에 달하는 데이터 공백 고발 문헌이라니! 언제쯤 이 기울어진 운동장이 복구될까.
의외로 보이지도 않고 보지도 못하는 것을 알려주는 안내서
남자로 태어났다.
그래서 남자로 자라갔다.
남자로써 불편함도 있고
남자로써 편안함도 있다.
그런데 남자라서 잘 모르는것도 많다.
생각보다 많은 것들이 남자라서 익숙했다.
공공기관의 온도나 버스의 손잡이
심지어 대부분의 공구나 여러가지의 기준들.
그것들이 바로 남자가 기준이되어 여자로써
어려움을 모르게 만들었다. 이책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우리에게 안내하고
그 불편한 진실을 들여다 보게 한다.
웅진지식하우스 출판사에서 출간된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작가님의 보이지 않는 여자들에 대한 리뷰입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감상이 들어가 있어서 약간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으니 이 부분 유의해서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타 플랫폼에서 책 소개 글을 보고 즐겨찾기만 해두다가 궁금해서 읽어 보게 되었습니다. 편향된 데이터는 어떻게 세계의 절반을 지우는지 역사와 사실을 기반으로 한 현실과 작가님의 견해에 동감하고 읽어왔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