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스 한센 저/김아영 역
레이첼 카슨 저/김은령 역/홍욱희 감수
유시민 저
앨릭스 코브 저/정지인 역
김정선 저 저
유선경 저
‘한국 철학의 대부’가 90의 언덕에서 인생을 바라보니
바야흐로 ‘100세 시대’다. 인류 역사상 전대미문의 100세 시대를 맞아 우리는 설레고 기쁘기보다는 불안하고 허둥대기 바쁘다. 왜 사는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 것인가, 무엇이 행복인가. 남은 인생을 어떤 인생관과 가치관을 갖고 살아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인생은 겪어봐야 깨닫는다’고 하지만, 먼저 100세 인생을 산 이의 지혜를 빌린다면 앞으로의 삶이 조금 더 명확해지고 향기로워지지 않을까? 1960년대 초대형 베스트셀러 『영원과 사랑의 대화』의 저자이자, 삶을 관통하는 철학적 사유로 우리를 일깨우는 시대의 지성이며, 97세의 나이에도 왕성한 저작 및 강연 활동을 펼치고 있는 ‘영원한 현역’ 김형석 교수가 스스로 살아본 인생을 돌이켜 깨달은 삶의 비밀들을 인생 후배들에게 다정하고 나지막한 소리로 들려준다. 가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물론 사회생활에서 모두가 겪어야 하는 과제들, 그리고 인생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관심까지, 일상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지혜롭게 판단하고 처리하는 삶의 지혜를 제시한다. 저자는 말한다. ‘인생은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익어가는 것’이라고. 돌이켜보면 힘든 과정이었지만, 사랑이 있는 고생이 행복이었다고. 그리고 고백한다. ‘그것을 깨닫는데 90년이 걸렸다’고. |
2022년 04월 22일
30년을 조금 더 살아온 내가 100년을 산다는 게 어떤 건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그래서 궁금하기도 해서 엄마랑 같이 읽어보자고 한 책. 철학자이자 100년 이상을 살아오신 분의 이야기이다.
100년을 살아오신 분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의 미래를 조금이나마 그려보는 것. 개개인마다 삶의 방향이 다르겠지만, 읽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더라.
나의 노후는 지금보다 더 반짝일 수 있기를.
책 제목에 끌렸고 포털 사이트의 광고에서 간단한 줄거리를 보게 되어 흥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20살에는 몰랐던 것을 30살에 알게 되듯, 만약 40, 50세를 넘어 100세 가까이 삶을 살아간다면 우리의 삶이 어떻게 다가올까?라는 질문으로 시작되는 책 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철학책과 조금 다른 문체로 시작하는 것 같아, 저자가 과거 많은 수필집을 집필한 것을 알고서 수긍이 갔습니다. 윤동주 시인의 중학생 동창이자, 김수환 추기경님의 동문이라는 수식어만 봐도 지난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와 함께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책의 큰 줄기는 행복, 결혼과 가정, 우정과 종교, 돈과 성공과 명예, 노년의 삶이라는 틀 안에서 시작되는데 이 모든 이야기를 하나의 키워드로 관통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사랑’입니다. 저자는 성장하는 동안 사람은 늙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인생의 황금기는 (저자가 아닌 우리 독자의 입장에서) 아직 오지 않았고, 일찍 성장을 포기하고 늙어버리지 말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머리를 띵~하게 만드는 순간 보다는 잔잔한 감동을 느끼며 조용히 천천히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아빠가 보고싶다고 하셔서 구매했어요
저도 읽어봤는데 제가 읽어도 참 좋네요
백년가까이 사신 교수님이 인생 전반에 걸쳐 후배들을 위해 많은 걸 전해주려고 하신 것 같아요
우리 아빠는 노년의 삶에 대한 부분이 궁금해서 이 책을 읽고 싶어하셨던 것 같습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아빠한테 책선물을 해봤네요
왜 아빠는 보고싶은 책도 없으실거라 생각했는지...
내 책은 그렇게 사면서 아빠책은 아빠 70이 되어서야 사드리네요
아빠랑 같이 읽고 이야기 나눌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호주에서 태어나 104세까지 사신 분이 스위스에 가서 스스로 운을 마감한 분에 대한 내용을 마침 호주에 아이들을 만나러 갔을 때 아이들에게 물어보니, 그 내용을 전혀 모르고 있더군요. 호주에서는 안락사가 불법이어서 그런지 몰라도..
그 기사를 보면서 다시 한 번 "백년을 살아보니" 에 대한 가치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누구에게나 삶은 공평하게 주어져 있습니다.
스스로 마감을 한다는 것 자체는 공평하지 않은 듯 합니다.
왜 태어났는 지 모르는 우리인만큼 사는 날까지 최선을 다해 살아가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잠시 빌린 이 몸을 살아가기 무난하게 유지하면서 다시 돌아가야 하지 않을까요?
그 답 중에 일부가 이 책에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