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 나티코 린데블라드 저/토마스 산체스 그림/박미경 역
데이비드 고긴스 저/이영래 역
정김경숙 저
시미즈 켄 저/정지영 역
최호진 저
새로운 인생, 다시 태어난 나를 위한 33가지 다짐들을 담아내고 있는 책이다. 나이듦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다 보니 나이가 주는 여유로움부터가 먼저 떠오른다. 20대와 30대는 정신없이 지나간 시간들이었다. 40대는 경험하지 못했던 또 다른 새로운 경험들로 채워졌던 시간들로 기억된다. 무엇보다도 탄탄하게 삶의 균형을 간직할 수 있는 경험들로 채운다. 새롭게 태어난 인생을 위한 33가지 차분히 만나본다.
총 4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읽기 쉬운 책이라 책장은 무겁지 않게 넘어간다. 이미 알고 있었던 내용들도 만나면서 실천하는 내용도 만나기도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마음이 맑아지는 삶을 향하는 내용을 여러 번 되뇌게 한다. 중년을 보내며 마음공부를 돌아본다. 잘 보내고 있어서 스스로에게 토닥거려주면서 말공부와 마음 다스리기를 다시 재정비하게 한다.
책을 읽다가 문득 나를 향하는 질문들을 마주하게 된다. 버려야 하는 것들, 유지해야 하는 것들, 새로운 도전과 좋은 습관들을 정비하게 한다. 좋은 습관들을 유지하고 있다. 더불어 근육운동도 매일 꾸준히 추가하고 있다. 세트를 추가하면서 즐기고 있다. 무리하지 않고 매일 추가되는 운동습관이 행복감과 만족감을 선사해 주고 있다. 건강관리를 시작하면서 꾸준히 기록도 한다. 좋은 인생을 가꾸며 만끽하고 있는 과정에 만난 책이다.
그동안의 삶과 지금 오늘의 삶을 떠올려본다. 좋은 여자, 좋은 아내, 좋은 엄마가 아니면 안 되나요라는 내용도 많이 공감하게 된다. 서서히 자신의 자리를 찾아가게 한다. 자신의 이름을 가지면서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선택과 결정은 우리의 몫이 된다. 현재와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에 만나볼 수 있는 책이다. 오십을 단단하게 준비할 수 있는 과정이 되어준 시간이다.
오십대를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도 돌아보게 한다. 오십대를 준비하는 분들, 오십대를 보내고 있는 분들에게 마음공부가 되는 내용들이다. 인생의 마지막이 어느 시점이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만큼 지금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마음을 어떻게 가지면서 살아야 할지, 말은 어떻게 해야 할지 돌아보게 한다.
마음의 자유란? 179
좋은 말은 좋은 인생을 만든다. 109
인생의 가장 끝을 살고 있는 지금, 이 순간! 156
스스로를 즐겁게 하는 방법을 아는 건,
삶을 기쁨과 감사로 넘치게 하는 것. 112
내면의 고독. 129
언젠가 부터 노년의 삶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항상 소나무처럼 건장하고 굳건할것같은 부모님의 머리가 성탄절 나무위의 하얀 눈같아 지고,
유튜브에 은퇴후 삶, 노후빈곤 등등이 추천으로 뜨기 시작하고,
쿠팡에서 장어즙을 묻고 따지지도 않고 주문하기 시작하고,
종합검진에 재검이 뜨는게 예사가되고...
그런 삶이 나 역시 늙고 있다는 자연스러운 신호로 받아 들여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좋은 아내가 되는 법, 좋은 상사가 되는 법을 정작 배우지 못해 닥쳐서야 허둥되었던것처럼 좋은 노년을 맞는 법 역시 알지 못하기에 막연하게 나이듦이 불안하고 버거웠다.
청년은 실패를 해도 남은 시간이 있기에 다시 재기도 가능하고 리셋할 시간이 있지만 노년은 정말 그런 시간이 없지 않은가... 그래서 좀 더 잘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 죽음 앞에서 내 인생 그래도 잘 살았어! 라고 말하려면 노년의 삶을 슬기롭고 평안하게 보내야 한다는 결론에 다달았다.
그래서 이책을 읽으면서 좀 더 집중했던 것 같다.
요시모토 유미라는 일본의 작가가 썼는데 확실히 우리보다 고령사회에 먼저 진입하고 노령인구가 많은 일본에서 출판된것이라 그런지 현실적이로 실용적인 내용이 많았다.
추억의 물건을 버려라. 괜히 짐만 많아져서 삶이 복잡해지고 공간이 많아진다. 추억은 머리에 저장하라. 물건대신 즐거운 체험과 기억을 쌓아라. 이런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지침부터 죽음이 갑작스레 닥쳤을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재산,보험,상속 등 행정처리...)에 대해서도 말한다.
어찌보면 청춘일때는 죽음이 절대 닥쳐오지 않을것처럼 살지만 노년은 죽음까지도 고려하며 내 삶은 재 디자인해야 할 시기라는 것을 이책은 얘기한다.
우리는 언젠가 모두 죽고 노년은 좀 더 그 시기가 가까이 있기에 어떻게 하면 노년의 내 삶을 좀 더 우아하고 가볍고, 즐겁게 최선을 다해 살수 있을까? 이책의 화두가 묵직하고 여운있게 다가왔다.
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 죽음 덕분에 우리는 삶이 유한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된다. 그래서 더 소중하게 내 삶을 살게 된다. 우아하게 사는 것이 어떤것인지 조금은 알게 되었다.
어떤 아나운서가 쓴 책 중에 "청춘은 청춘에게 주기 아깝다..."라는 제목의 책이 있다.그 말 그대로 청춘일때는 그 청춘이 왜 그렇게 소중하고 좋은지 알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생각한다. 나역시 그랬다. 그 예쁜 청춘일때는 그게 좋은지 모르고 만끽하지 못하고 지나쳐 보냈다. 그시절은 기억해보면 고뇌와 방황...암튼 회색으로 점철된 후회의 시간들로 기억된다. 이럴줄 알았으면 좀더 적극적으로 놀아도 보고 더 활동적으로 살아보는건데...하지만 어쩌겠는가? 이미 떠나보낸 강물인데... 만약 내가 다시 청춘으로 돌아간다면...그리고 그때 누군가 청춘은 이렇게 보내야한다!!라고 조언을 해준다면 나는 나의 청춘을 좀 더 잘 보낼 자신이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나의 남은 장년도 멋지게 보낼 방법을 미리 안다면 실패없이 후회 없이 살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읽기 시작한 책이 "오십부터는 우아하게 살아야 한다" 라는 책이다.
일단 주변에 장년중에는 이 책처럼 편하게 장년을 보내는 분이 없다..그건 재력 등등의 문제가 아니고 삶에 대한 태도, 라이프 스타일의 문제인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먹고사는 문제 때문에 혹은 사회적 시선때문에..혹은 일 is 마이라이프라는 관점에서 삶에서 일자체가 꽤 큰 무게를 차지하는 중년들이 많다.
그런데 이책은 50대이후부터는 삶에 대한, 나에 대한 애티튜드를 바꿀것을 말하고 있다.
조금은 나자신을 비우라고 말한다. 좀 더 자연스럽게 나를 받아 들이고 내 삶을 가볍게 하라고 조언한다. 이른테면 너무 건강집착증에 사로 잡혀 몸에 좋은 것을 찾아 먹는 대신에 내 몸에 맞는 음식을 찾아서 조금씩 지혜롭게 맛보라고 말한다.
고독도 고립이 아니고 스스로 그 시간을 즐기라고 말한다. 의무감으로 하는 일을 내려놓고 자연스럽고 즐거운 일을 찾으라고 말한다.
이 책 어디든 친구 돈 건강을 말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좀 더 나 자신과 내 인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나이 듦의 품격...저자가 말하는 것은 결국 나 자신에 대한 깊은 존중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어느 시점뿐만 아니라 내 인생 전반에걸쳐 제일 중요한 화두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