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전쟁과 평화 (중)

레프 톨스토이 저/박종소,최종술 | 을유문화사 | 2021년 10월 25일 리뷰 총점 10.0 (13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4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8건)
  •  eBook 한줄평 (1건)
분야
소설 > 고전문학
파일정보
EPUB(DRM) 6.72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 PC(Mac)
이용안내
TTS 가능 TTS 안내

이 도서의 시리즈

내서재에 모두 추가

책 소개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저자 소개 (3명)

저 : 레프 톨스토이 (Lev Nikolayevich Tolstoy,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작가 한마디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때는 현재이며,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이며,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사람은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이다. 러시아 툴라 지방의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모 밑에서 성장했다. 1844년 카잔대학교에 입학했으나 대학 교육에 실망하여 삼 년 만에 자퇴하고 귀향했다. 고향에서 새로운 농업경영과 농민생활 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하고, 1851년 큰형이 있는 캅카스로 가 군대에 들어갔다. 1852년 「어린 시절」을 발표하고, 네크라소프의 추천으로 잡지 〈동시대인〉에 익명으로 연재를 시작하면서 왕성한 창작활동을 하는 한편, 농업경영과 교육활동에도 매진해 학교를 세우고 교육잡지를 간행했다. 1862년 결혼한 후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등의 대작을 집필하... 러시아 툴라 지방의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모 밑에서 성장했다. 1844년 카잔대학교에 입학했으나 대학 교육에 실망하여 삼 년 만에 자퇴하고 귀향했다. 고향에서 새로운 농업경영과 농민생활 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하고, 1851년 큰형이 있는 캅카스로 가 군대에 들어갔다. 1852년 「어린 시절」을 발표하고, 네크라소프의 추천으로 잡지 〈동시대인〉에 익명으로 연재를 시작하면서 왕성한 창작활동을 하는 한편, 농업경영과 교육활동에도 매진해 학교를 세우고 교육잡지를 간행했다.

1862년 결혼한 후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등의 대작을 집필하며 세계적인 작가로서 명성을 얻지만, 『안나 카레니나』의 뒷부분을 집필하던 1870년대 후반에 죽음에 대한 공포와 삶에 대한 회의에 시달리며 심한 정신적 갈등을 겪는다. 1899년 발표한 『부활』에서 러시아정교회를 비판했다는 이유로 1901년 파문당했다. 1910년 사유재산과 저작권 포기 문제로 부인과 불화가 심해지자 집을 나와 방랑길에 나섰으나 폐렴에 걸려 82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다.
역 : 박종소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 어문학부에서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시: 미학적·도덕적 이상의 문제」(1995)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러시아 문학의 종말론적 신화 양상」(1?3편, 2004?7) 「러시아 속의 세계문학」(2014) 「도스토예프스키와 러시아 혁명」(2017) 등이 있다. 『한국 근대문학의 러시아문학 수용』(공저, 2016)를 썼고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미하일 바흐친의 『말의 미학』(공역, 2006),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악에 관한 세 편의 대화』(2009), 류드밀라 울리츠...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 어문학부에서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시: 미학적·도덕적 이상의 문제」(1995)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러시아 문학의 종말론적 신화 양상」(1?3편, 2004?7) 「러시아 속의 세계문학」(2014) 「도스토예프스키와 러시아 혁명」(2017) 등이 있다. 『한국 근대문학의 러시아문학 수용』(공저, 2016)를 썼고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미하일 바흐친의 『말의 미학』(공역, 2006),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악에 관한 세 편의 대화』(2009), 류드밀라 울리츠카야의 『우리 짜르의 사람들』(2014)이 있다.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러시아어로 옮겼으며(공역, 2020) 「칸딘스키와 러시아 거장展」(2007?8, 예술의전당) 개최에 참여하였다.
역 : 최종술
최종술은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블로크의 사이클 『무서운 세계』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후 옮긴이는 블로크가 마지막 시를 헌정했던 ‘푸시킨스키 돔(러시아 학술원 러시아문학연구소)’에서 수학하며, 러시아 시와 정신문화 전반으로 지적 관심의 지평을 넓혀나갔다. 그 작은 결실이 박사학위 논문 「알렉산드르 블로크와 19세기 러시아 낭만주의 시인들 사이의 시적 영향과 대화적 관계에 관한 연구(Русские поэты-романтики XIX-го века в восприятии А. Блока ? Семантика реми... 최종술은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블로크의 사이클 『무서운 세계』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후 옮긴이는 블로크가 마지막 시를 헌정했던 ‘푸시킨스키 돔(러시아 학술원 러시아문학연구소)’에서 수학하며, 러시아 시와 정신문화 전반으로 지적 관심의 지평을 넓혀나갔다. 그 작은 결실이 박사학위 논문 「알렉산드르 블로크와 19세기 러시아 낭만주의 시인들 사이의 시적 영향과 대화적 관계에 관한 연구(Русские поэты-романтики XIX-го века в восприятии А. Блока ? Семантика реминисценций и аллюзий」(СПб., 2001)다. 현재 상명대학교 러시아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알렉산드르 블로크-노을과 눈보라의 시, 타오르는 어둠의 사랑 노래』, 역서로 알렉산드르 블로크의 『블로크 시선』,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절망』, 공역으로 리디야 긴즈부르크의 『서정시에 관하여』, 『러시아 이념: 그 사유의 역사 1』, 논문으로 「포스트낭만주의 시대의 낭만주의적 의식과 상징주의 시인의 자아 인식」, 「파우스트적 세계 지각과 반(反)휴머니즘」, 「‘황홀경’과 낭만주의적 혁명의 구조」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회원 리뷰 (4건)

한줄평 (9건)

0/50